"ICT융·복합기술 확산… 농식품산업 발전 기여"
노지 스마트팜 개발도 활발… 다양한 작물 최적화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농식품 분야에 도입된 ICT(정보통신기술), IoT(사물인터넷) 기술 수준은 아직 높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스마트팜 관련 기업 규모도 영세하지만 이 분야의 발전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이에 한국농식품ICT융복합산업협회는 회원사의 경쟁력 강화와 ICT융·복합기술 확산을 통해 산업발전에 기여코자 합니다.”

정영환 (사)한국농식품ICT융복합산업협회(KAICAF) 사무총장은 농식품 분야 ICT융·복합산업의 발전가능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운을 뗐다. 산업육성을 위해 회원사와 관련 기관의 상생협력 방안 등을 강구하는 정 사무총장을 만나봤다.

▲ 정영환 (사)한국농식품ICT융복합산업협회 사무총장

 
# 협회를 간단히 소개한다면

KAICAF는 농식품 및 타 산업의 기술 융·복합을 통해 농식품산업 발전을 이루고 회원사 간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2014년에 설립됐다. 설립 이래로는 정부시책 사업인 ‘스마트팜 확산 사업’에 기여코자 스마트 기자재 품질보증제도 및 사후관리체계 구축 등에 힘써왔다. 특히 2016년부터는 ‘스마트팜 표준화와 기업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사업(CMO)’에 참여해 스마트팜 기업이 사용하는 비표준제품의 표준통신을 위한 표준컨버터 개발 등을 위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 농식품ICT융·복합산업 분야 시장 현안과 전망은

국내 스마트팜 및 관련 기자재의 시장규모는 계속 확대되는 추세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에 따르면 시설원예 스마트팜 보급면적은 2016년 1912ha에서 지난해 4010ha로 2배 이상 늘어났다. 또한 농식품부는 2022년까지 시설원예 스마트팜은 7000ha, 스마트 축사는 5000호로 늘릴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스마트팜 규모가 확대되는 것은 물론 스마트팜 표준화 사업 등을 통해 ICT융·복합기술 및 기자재 간 호환성도 높아지고 있어 점차 기술 수준의 상향평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본다. 아울러 최근에는 노지 스마트팜 개발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어 다양한 작물에 최적화된 기술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일단 ‘스마트팜 사후관리 서비스(A/S)’ 관련 문제를 개선해야 스마트팜 전·후방 산업 발전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팜 기자재를 공급하는 기업이 영세해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추지 못하다보니 농가에서 A/S를 요청해도 쉽게 찾아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까지의 농식품ICT융·복합 기술은 주로 작물생산성을 늘리는 방향으로 발전돼 왔다면 앞으로는 유통 및 소비단계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사후관리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이 전문화, 고도화 될 것으로 전망한다.

# 앞으로의 협회 운영 계획은

스마트팜의 확산과 표준화가 정부 시책사업인 만큼 이와 관련된 연구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성과를 보일 계획이다. 또한 지난달 30일 사업대상지가 선정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에 협회차원에서 가능한 지원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회원사의 참여를 독려하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정부에 알리는 등의 역할도 성실히 수행해 나가려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