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 조정치 더착한농장 대표

일반적으로 청년 창업농보다 승계농이 농업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소득 창출이 용이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사실 창업농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모님들이 대농이 아닌 이상 대부분 소규모로 농사를 짓기 때문에 가업을 잇는다고 해도 많은 수익을 올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현실은 승계농이라는 이유만으로 정부의 각종 지원 사업에서 제외되고 있다.

정부에서 승계농이 창업농보다 농업에 빨리 정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승계농을 위한 지원책이 하루속히 마련돼야 한다.

또한 현재 지역에서 실시하는 상당수의 교육은 청년농업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여주기 식의 교육이 대부분이며, 실제 청년농업인들에게 필요한 교육은 많지 않다.

이보다는 청년농업인들에 대한 평가 시스템 등을 만들어 한 번의 금액지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이들이 농업현장에서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농업에 뛰어드는 청년농업인들은 적어도 10년 정도의 사전 준비기간을 거쳐 창업을 해야 실패할 확률도 적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