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농산업체가 주도해야…지속가능한 영농 모델 구축도
본지 주관, 국회 전문가 좌담회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논란이 되고 있는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에서 농업인과 농산업체 주도로 추진돼야 하며, 사업 추진을 위한 공감대와 거버넌스 형성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에서 김종회(민주평화, 김제·부안)·손금주 의원(무소속, 나주·화순)이 주최하고 본지가 주관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발전방안 국회 전문가 좌담회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이명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영농시스템 자체가 정부 주도로 이뤄져 왔으나, 앞으로 우리나라 농업의 전체적인 혁신을 주도해야 하는 주체는 농업인”이라며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청년농업인들을 유입함으로써 농업인과 농업기관, 기업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시발점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단순한 농산물 생산기지가 아니라 향후 우리나라 농업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민수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정책조정실장은 “스마트팜 혁신 밸리에 대한 이해당사자간의 논의가 충분하지 않아 농업인과 기업인, 청년농업인들의 합의와 의견을 통합할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며 “스마트팜 기술을 현장의 농업인들이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는지 분석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태완 한국시설원예ICT협동조합 이사장은 “우리나라의 농업은 기술, 연구, 실증분야가 종합되지 못하고 각 기관으로 흩어져 있다”며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기술연구실증과 청년농업인들의 보육이 함께 이뤄지는 혁신센터로 거듭나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참여하는 청년농업인들이 사업의 주체인지, 대상인지 알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의성 전국청년농업인선정자연합회장은 “청년농업인들은 현재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사업에 선정돼도 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 은행을 찾기 어렵고 수익성 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며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청년농업인들이 농업에 정착할 수 있을 만큼의 사업성이 있는지, 이 사업에서 청년농업인들이 주체인지 대상인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박순연 농식품부 농산업정책과장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단순히 유리온실로서의 생산기지가 아니라 농가들이 작물 재배 시 비용을 낮추고 병충해 등의 고충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청년농업인들이 향후 지속가능한 영농을 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