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스마트팜 성공의 체감사례를 만들기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기로 했다.

정부가 2014년부터 시설원예와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ICT 기자재를 보급, 스마트온실 신축, 스마트 원예단지 기반조성 등 스마트팜 보급 및 확산에 주력한 결과 보급실적이 급격히 증가했다. 실제, 시설원예의 경우 2014년 405ha에 불과했던 스마트 보급실적이 2017년 4010ha로 10배나 늘어났고, 축산의 경우 2014년 23호에서 790호로 급증했다.

그러나 이 같은 스마트팜 보급 및 확산 정책이 개별 농가단위로 시행되다 보니 전문인력 양성, 연관산업 성장 등 산업전반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에는 미흡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스마트팜 정책대상을 청년농업인, 전후방 산업으로 확대하고, 성과 창출을 위한 거점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계획을 마련한 것이다.

오는 2022년까지 전국 4개 지역에 조성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R&D)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이다.

특히 이 계획에는 청년들이 스마트팜에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방안이 들어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4개소를 만들어 장기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 청년농업인을 육성하기로 했다.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농업인이 막대한 초기 시설 투자 없이도 적정 임대료만 내면 스마트팜창업이 가능하도록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도 조성하기로 했다. IT에 익숙한 청년농업인들도 체계화된 전문 교육프로그램이 없어 스파트팜 접근에 쉽지 않고, 초기 시설투자 부담 등을 호소했던 점을 감안해 볼 때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있다. 일부 스파트팜 성공사례가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팜 기기에 대한 품질문제와 A/S 미흡 등도 풀어야 할 숙제다.

특히 스마트팜에 적합한 작물이 다양화돼 있지 않아 특정품목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갈등소지와 수출 등 판로 미개척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게 사실이다.

농업인력 감소와 이로 인한 농업노동력 부족, 잦은 기후변화 등 농업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스마트팜이 농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이 같은 기대와 함께 우려도 분명한 만큼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과정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