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유기식품 수입 증가·고품질화…국내시장 ‘위협’
KREI, 농업환경보전프로젝트 효과적 활용 필요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국내로 유입되는 수입유기식품의 규모는 대폭 증가하고 있는 반면 국산 친환경농산물 생산은 정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신뢰회복과 판로확대 등 다양한 소비촉진 정책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수입유기식품 수입물량과 수입금액의 2013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은 모두 10% 이상으로 2016년 기준 4만6000톤, 1억2948만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수입유기식품 수입이 점차 규모화, 고품질화 되고 있는 것으로 국내 유기농시장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ha당 출하량이 감소해 전년대비 13.1% 줄어든 496만톤을 기록했다.

농경연이 예측프로그램을 통해 추산한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 시장규모는 연평균 5.8% 성장, 2025년 2조136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국산 친환경 농산물의 대내외적인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확대를 위한 체계적인 생산기술개발의 필요성과 소비촉진을 위한 신뢰회복과 판로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학균 농경연 연구위원은 “친환경농산물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무농약 농산물 재배면적의 감소로 생산량은 2013~2015년 이후 크게 감소한 이후 정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데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은 친환경농산물 생산기술과 판로확대로 나타났다”며 “잡초 및 병충해 방제기술 개발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현장 수요의 정확한 반영과 경제성 및 현장 적응성 분석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 연구위원은 “친환경농산물 소비촉진을 위해 2008년 이후 발생한 친환경농산물 부실인증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민간인증기관의 역할 강화 방안과 민간인증기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학교, 요양원, 군대, 병원 등 친환경농산물 공공급식을 확대하기 위한 원료구입 자금 지원, 지자체급식센터와 친환경 물류센터를 연계한 친환경농산물 조달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연구위원은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농업생산과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인센티브 제고를 위해 정부가 준비중인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이러한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도입은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