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나 농정연구센터 선임연구원, 296회 세미나 통해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현장의 사회적농업 실천주체들이 인식하는 사회적농업의 모습이 다양하고, 정책이 의도한 방향으로 끌고 나가기 위해서는 연구자나 정책당국만의 논의가 아니라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사회적농업 정책모델이 어떤 방향을 지향할 것인지 합의가 이뤄져야 관련 후속 논의가 활발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유리나 (사)농정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지난 15일 농정연구센터에서 열린 296회 세미나에서 ‘사회적농업 실천유형별 특징과 정책 추진과제’ 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유 선임연구원의 발표는 농촌진흥청 연구과제로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농업의 발전경로 및 경영성과 분석’ 연구에 따른 것이다.

그는 “사례 면담자들이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부분은 사회적농업이 기존의 6차 산업화와 어떤 측면이 다르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말하는 사회적농업과 농촌진흥청의 치유농업의 차이를 알 수 없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선임연구원은 “사회적농업의 정책모델을 전문화된 경영다각화 모델로 할지, 지역 공동체를 기반한 모델로 할 것인지, 사회복지 분야에서 이뤄지는 하나의 농업실천 정도로 할지 검토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정책지원수단 방법(가령 중간지원조직의 설립이나 사회적경제 영역과의 연계 등), 지속적인 정책지원을 위한 성과평가 방식(개인의 사회 심리적 효과분석이나 공동체나 거버넌스 발전 중심 분석의 분석)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사회적농업의 실천범위를 장애인, 취약계층 등으로 한정하지 않아야 한다”며 “일상생활에 중요한 재화나 서비스의 중간수준에서 접근이 어렵고 이를 확보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범위를 넓혀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사회적농업에 대한 평가도 정책을 평가할 것인지, 그 실천을 평가할 것인지에 따라 성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예산에 대한 편익 평가와 실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을 평가하는 형태로 나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