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산환경학회, 가축분뇨 투입량 지역양분요구량 못미쳐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국내 현실에 부합하는 양분수지 산정식 개선 등 한국형 가축분뇨 양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정부가 향후 지역양분관리제(양분총량제)를 도입하겠다는 방침인 상황에서 유럽, 미국, 일본 등과는 다른 국내 환경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축산환경학회가 대한한돈협회의 의뢰를 받아 지난 22일 ‘가축분뇨 양분총량 관련 대응 연구 용역’ 결과 우리나라 가축분뇨 투입량은 경기, 충남, 전북을 제외하곤 대체로 지역의 양분요구량을 넘지 않는 수준을 나타냈다. 
 

질소의 경우 경기 1.65, 충남 1.38, 전북 1.03으로 투입량과 요구량이 일치하는 양분수지밸런스를 충족했지만 나머지 지역은 1이하로 오히려 모자랐다. 
 

양분수지밸런스에서 잉여양분의 경우 농경지에 투입된 모든 가축분뇨와 화학비료의 양을 합쳤을 때 제대로 파악가능한데 이에 대한 고려 없이 축산농가에만 양분 과잉의 책임을 물으려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와 함께 환경부의 경우 유럽에서 쓰이는 ‘토지수지 산정법’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해 농가단위 양분수지 산정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밝혔지만 환경부가 제시한 양분수지 산정법은 단순히 유럽 사례 등을 인용하는 수준이고 일본에서도 이러한 프로그램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학계와 업계에선 한국형 가축분뇨 양분관리 대책으로 농가단위에서 가축분뇨를 자원화 할 경우 퇴·액비의 양과 양분 부하량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규 한국축산환경학회장은 “자원화·정화방류 등의 방법으로 양돈농가들은 분뇨를 처리해 배출한다”며 “여기에는 200여 가지에 이르는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환경부의 산정법은 자원화된 분뇨가 토양으로 유입되는 국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유럽은 연중 강수량이 고른 반면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기 때문에 유럽 기준에 맞추면 농가에서는 화학비료를 더 이용할 수밖에 없다”면서 “산정식을 개선해 국내 실정에 맞는 더 정확한 국가단위 양분수지가 산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