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 조직 급증·사회적 농업 실천 확산·새로운 생활양식 출현
맞춤형 정착 지원·일자리창출 등 농산어촌 조성에 행정이 적극 나서야
농경연, 제24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농촌이 새로운 생활양식의 출현과 잠재력 증대, 정부 정책의 복합적인 상승효과를 통해 부흥의 시대가 올 것이라는 희망찬 청사진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5일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전국농어촌지역군수협의회와 함께 개최한 ‘지방소멸론을 넘어서: 농촌 공동체 재생의 길'이라는 주제의 '제24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심재헌 농경연 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농촌은 현재 정주만족도 상승으로 인한 인구 증대, 혁신 창출 공간으로서의 성과 확인, 사회적 경제 조직의 급증, 사회적 농업 실천 확산, 새로운 생활양식의 출현 등이 확인되고 있다”며 “농촌은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 증대로 지방 소멸론을 넘어 지방부흥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지방소멸을 넘기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필요성도 제기됐다.

심 연구위원은 “농촌을 새로운 사람과 기술, 공동체가 어우러진 실현 가능한 꿈의 공간이라는 인식의 필요성과 맞춤형 정착 지원 및 혁신성장형 일자리창출, 정주생활기반 확충 등으로 사람이 돌아오고, 떠날 필요가 없는 농산어촌 조성에 행정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철 농식품부 지역개발과장은 “정부는 누구나 살고 싶은 복지 농촌 조성을 위해 어디에 살더라도 불편 없는 생활거점 1600개소 및 일자리가 있는 활력거점 100개소 조성, 농촌다움의 가치 확산으로 도시민이 찾아오는 농촌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읍·면·마을 간 상호 기능 연계를 강화해 농촌 어디서나 불편이 없도록 30분 이내 소매, 보건 등 기초 생활서비스가 가능하고, 60분 이내 문화, 교육, 의료 등 복합 서비스 가능하며, 5분 이내 응급벨 등 긴급 연락체계가 가능한 ‘3.6.5’생활권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창길 농경연 원장은 “농촌은 도시에 없는 고유의 가치를 잘 살려서 사람이 찾아오는 곳을 만들고, 새로 온 사람들이 지역사회에 자긍심을 가지는 것을 통해 미래 농촌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