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 강창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우리 농기계산업이 안고 있는 상황과 문제, 가야할 길은 오래전부터 제시되어 왔다. 2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한국농업기계학회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면서 장차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00년대에는 외국 농기계수입증가에 대응한 다양한 책략과 수출제고를 위한 정책을 만들어 시행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문한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그에 대한 응답의 구체화된 수출전술이 보이지 않는다. 왜 이렇게 되었는가.

가장 중요한 것은 농기계산업과 정책을 이끄는 리더십의 부재에 있다는 생각이다. 그간 각종 위원회와 TF(테스크포스)를 만들어 운영했지만 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정부와 관련기관에서,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에서 나름대로 대응하려고 노력한 바는 인정한다. 하지만 결과가 미흡하다면 그 출발과 과정을 점검해야하지 않을까. 
 

지난 9월 보도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문화교육정보원에서 농기계 포함 4개 품목 10개국 시장정보를 제공한다고 나와 있다. 농기계의 다양한 자료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나라로 필리핀, 베트남, 중국이 적시되었다. 정보원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국제통상협력처 사업, ‘농기자재 수출활성화사업’에 9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2018년 9월에 마무리 되도록 돼 있었다. '글로벌 농정 인사이트(GAIN)' 제3호 농기자재 수출활성화의 전략과 해법은? 이라는 자료가 있었다. 하지만 수출활성화 사업의 구체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었고, 간행물의 내용은 일반 잡지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농업기계화 정책심의회에서는 농업기계화사업 주요 추진 전략 가운데 하나로 농기계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수출확대(2015년 8억9100만달러에서 2021년 12억 달러)을 도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매년 원천 핵심기술 2개 이상 주요 핵심부품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수출 촉진을 위한 ‘농기계 수출 연구사업단’을 운영하며 수출국의 농작업 환경 및 농법에 맞는 수출국 맞춤형 농기계 개발 지원을 위해 2017년 8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연구비 4억9000만원을 투입하다는 계획이었다.
 

한편 농기계공업협동조합으로 하여금 수출 전문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농기업체의 생산제품(부품 포함) 수출업무 대행 추진을 계획하겠다고 했다. 즉 해외 바이어 대상 제품상담, 가격협의, 물품안내 등 무역관련 업무를 총괄 지원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지원업무에는 국제 전시와 박람회 참가를 통해 신규거래선 확보 및 조합원의 농기계 홍보 추진도 포함된다. 
 

사실 농기계수출에 관련해 ‘농기계 수출 연구사업단’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수출대상 국가에 대한 관련 모든 최신정보, 농기계 산업 및 시장트렌드, 인허가·등록 등 진입장벽 정보, 유통구조 및 바이어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원업무를 수행한다면 수출확대에 어려움은 줄어들 것이다. 나아가 신규선 확보와 박람회 참가, 홍보까지를 지원한다면, 그리고 내부적으로 농기계기업들도 연구와 개발 에 매진한다면, 우리 농기계산업은 세계경영을 통한 성장을 지속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러한 전략과 전술이 전개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국내 농기계산업의 미래 성장은 내수보다는 수출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농기계 수출확대를 위해 농기계산업정책이 기획되고 시행돼야 한다. 지금 계획하고 있는 사업만이라도 충실하게 수행돼야 한다. 이를 위한 관리조직(C/T)으로서 ‘농기계 수출 연구사업단’을 실질적으로 조직하고 활동하도록 해야 한다. 범 정부부처와 산업계,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관련 기관과 학회가 하나가 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기획도, 전략도 공염불이 될 수 있음을 절감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