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상·공 융복합 통해 경쟁력 제고해야
6차산업화 종사자 매출액 늘고 고용안정화 효과
지역별 특성 고려 6차산업화 모델 개발 필요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농어촌 6차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별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농·상·공 융합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IBK경제연구소는 최근 ‘농어촌 6차산업화 추진전략과 금융지원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최근 IBK경제연구소가 제시한 농어촌 6차산업화의 국내외 현황 및 추진전략 등을 알아본다.

# 6차산업 종사자·매출액↑…고용 안정화 기여

6차산업화 종사자의 매출액이 늘고 고용안정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2011년부터 6차산업화 핵심 지원 사업으로 ‘종합화 사업계획’과 ‘농림어업 성장 사업화 펀드’ 등을 운영해오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2011년부터 5년간 6차산업 종사자수는 연평균 2.3% 증가했다. 일본의 2016년 6차산업화 종사자는 약 50만1000명이다.

6차산업 종사자의 매출액도 2011년 이후 연평균 4.7% 가량 증가, 2016년 2조2580억엔을 달성했다.

또한 6차산업 종사자 중 가족을 제외한 고용자 비중도 2011년 49.2%에서 2016년 55.3%로 6.1%포인트 상승했다. 상용직 근로자 비중도 2011년 40.7%에서 2016년 50.3%로 9.6%포인트 상승해 고용 안정성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내에서도 6차산업화를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 고용 안정성 증진 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 6차산업 인증 사업자는 2015년 802개에서 2017년 1397개 업체로 늘었다. 6차산업 인증 사업체당 매출액도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10%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 지역 특성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해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단 제언이다.

성공적인 6차산업화를 이끌려면 천편일률적인 정부 지원보다 지역의 인적자원 분포 및 특화산업, 산업구조 등을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IBK경제연구소는 지역별 인적여건·특화산업·시장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4가지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

우선 서울 인근에는 개인·법인 위주의 ‘6차산업 복합도시 육성’ 모델을 제안했다. 교통 인프라가 좋아 지역 내·외 생산유발효과가 큰 경기지역 등에선 생산-가공-외식·체험을 융복합한 사업체 육성 등의 방안이 필요하며, 충북과 경남 등 제조업 비중이 높은 대도시 인근 제조업 특화지역에는 마을·조합 위주 ‘서비스업 육성’ 모델을 제시했다.

마을단위의 외식·체험 등 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남, 경북 등 지방·제조업 특화지역은 마을·조합 위주의 ‘가공업 특화’ 모델을, 강원, 제주 등 관광지가 많고 겸업농가 비중이 높은 지방·서비스업 특화지역에는 개인·법인 위주 ‘서비스업 특화·가공업 육성’ 모델을 제안했다.

# 6차산업 인증제 확대 시행해야

농·상·공 융합을 통해 6차산업화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제언도 있었다.   

각 산업마다 각기 다른 경영 노하우와 기술이 요구돼 융복합 단계가 복잡할수록 전문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1차산업자인 농어업인들을 교육해 6차산업자로 육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농업인과 공업·상업 중소기업 등이 융합한 농공상융합형 기업을 육성, 6차산업화의 활로를 찾는 방안이 제시됐다.

아울러 6차산업 인증제를 확대 시행해 사업자 데이터 구축을 강화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6차산업 인증제를 확대해 사업자 데이터를 모으고 보조금 중복지원, 부정수급 등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원금의 사후관리도 원활하게 해 지원방향 및 개선사항 도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