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지난달 23일부터 산란계 농가의 우려 속에서 난각 산란일자 표시제가 시행됐다. 그 즈음 대한양계협회는 70일간의 농성을 종료한다는 소식을 전해왔다. 더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용란선별포장업과 관련, 개인GP(계란유통)가 아닌 광역GP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계란 거래참고가격 공시제를 도입키로 합의했다고도 전했다.

‘합의’라는 단어 때문인지 표면적으로는 모든 것이 잘 풀린 듯한 인상을 주지만 실상 제대로 살펴보면 기존의 식약처 계획과 비교해 소비자에게 득이 되는 합의도, 농가들의 걱정과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합의도 아니었다. 여전히 소비자들은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는 계란을 소비해야 하고 농가들은 계란 적체 등 피해를 면할 길이 없다.

지금껏 전문가들은 계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선 산란일자 표기보다 적절한 온도 유지가 더 합당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식약처는 이같은 지적을 받고도 계란 온도 기준과 규정을 손보지 않았다.

합의를 통해 농가가 얻어낸 것이라고는 광역GP와 계란 거래참고가격 공시제뿐이지만 이 또한 기한 없는 계획일 뿐이니 득이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광역GP의 명확한 주체와 정부 지원 대책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언급이 없어 제도 실행의 불투명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양계협회는 합의 내용만 강조하며 농가에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농성이 끝나자마자 그간의 계란 안전을 우려하던 걱정의 목소리와 외침도 잦아들었다. 

수많은 언론이 긴 농성 기간 동안 양계협회의 입장을 지지했던 이유는 ‘더 안전한 계란의 공급’이라는 방향성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농성은 끝났지만 계란산업 발전을 위한 협회의 활동은 재가동돼야 한다.

아직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다. 현실을 직시하고 오히려 전보다 목소리를 더 높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