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국내 원유자급률이 50%선 아래로 무너졌다.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 천안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원유자급률 변동 현황’에 따르면 2009년 69.5%에 달했던 원유자급률은 2013년 58.4%, 2016년 52.9%로 하락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급기야 49.3%로 떨어졌다. 2009년 대비 무려 20.2%포인트가 하락한 것이다.

 

문제는 이같은 자급률 하락이 국내 생산량이 줄어서가 아니라는 데 있다. 2009년 국내 생산량은 211만톤에서 2013년 209만3000톤, 2016년 207만톤, 2018년 204만1000톤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국내 소비량은 2009년 303만6000톤이던데서 2013년 358만2000톤으로 50만톤 이나 증가했으며 2016년 391만4000톤, 2018년 413만8000톤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른 국민 1인당 유제품 연간 소비량도 2009년 61.7kg이던데서 2013년 71.3%로 10kg나 증가했고, 2016년 76.4kg에 이어, 지난해에는 80.1kg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1인당 유제품 소비량은 10년 전보다 무려 20kg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매년 유제품 소비시장은 빠른 속도로 증가했지만 국내 유제품 소비가 늘어난 게 아니라 수입 유제품 소비가 급증한 것이다. 실제 국내 유제품 수입량은 2009년 95만9000톤이던데서 2013년 158만6000톤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6년에 183만2000톤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 219만800톤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 낙농 강국들과의 FTA(자유무역협정)체결로 가격경쟁력과 상품경쟁력을 가진 국가들의 유제품이 매년 대거 들어온데 따른 것이다.

수입유제품이 우리 시장을 맹렬히 공격하는 사이 국내 유제품은 맞대응은커녕 제대로 방어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는 2026년이면 수입유제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거의 대부분 철폐된다. 수입유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지금보다 더 높아지는 것이다. 
 

자급률을 회복하기 위한 정부와 생산자단체, 업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음용유의 소비처를 확대하고 국내 유제품의 제품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우유 시장 확대의 가장 효율적인 학교급식과 가공원료유 지원사업 등을 더 확대하는 등 제도적, 재정적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생산농가와 업체는 우유와 유제품의 품질경쟁력을 더 높이고, 국내 유제품 소비를 늘리기 위해 상품개발과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