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파머스
제9회 한반도 농생명 포럼

[농수축산신문=송형근 기자] 

축산업 전문화·집약화 나서
세포지구 축산기지 대형화도

 

북한이 식량난 해결을 위해 북한 주민들에게 부업축산을 장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굿파머스가 지난 10일 aT센터에서 주최한 ‘제9회 한반도 농생명 포럼’에서 조충희 굿파머스 연구소 연구위원은 이같이 밝혔다.

조 연구위원은 ‘부업축산 협력을 통한 남북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북한은 축산업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환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우리나라 또한 축산업 발전을 위해 우선순위로 두고 정책적 지원을 활발히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해 초 신년사에서 부업축산 강화를 위한 초식가축 증가 정책 유지, 고리형 농축산 경영, 세포지구 축산기지의 정상 운영 보장 및 대형화, 축산업 과학화 강화 등을 전면에 내세웠다”면서 “실제로 북한 노동신문에서 축산 관련 보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축산업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1950년대 후반 국영종합목장 개설 이후 가축마릿수를 늘리는 데 집중해왔고 1960년부터 1970년대에는 축산업 전문화를 이루기 위해 축산대학을 설립하고 축산기술자를 양성해 축산업 집약화에 나섰다.

이후 1990년대 초까지 축산업의 현대화, 다양화를 위해 가금업 발전정책을 세우고 적극 추진해왔으며 1990년부터 2010년까지는 초식가축 증가 정책을 처음 발표해 추진하고 축산업 전문화 정책을 시행해 왔다. 

조 위원은 “재미있는 것은 북한 정부는 토끼, 염소, 양 등 초식가축을 기르는 것을 권장했지만 주민들은 꿩, 타조, 자라 등 돈이 되는 가축을 기르는 것을 선호했다”며 “이후 현재까지 초식가축을 중요시 여기는 정책은 유지하고 있으며 여기에 부업축산과 고리형 농축산경영을 강조하고 있고 세포지구 축산기지의 대형화, 과학화, 사료첨가제 개발 등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축산업의 4대 고리로 △가축종자 문제 △먹이문제 △가축사양관리의 과학화, 합리화, 현대화 △수의방역사업 강화를 내세우고 있다.

조 위원은 북한이 부업축산을 강조하는 이유로 경제난 심화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UN대북경제제재로 인해 경제난으로 심해지면서 공동축산, 협동농장축산업이 부진한 상황”이라며 “토지 소유와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북한은 협동단체가 형식적으로 토지를 소유하고 있지만 대부분 조선노동당이나 기관 간부들을 먹여 살리는 데 활용되고 있어 협동농장 축산업이 부진한 것은 북한 입장에서는 중요한 사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장춘용 굿파머스 사무차장은 북한에서 축산업이 후순위로 밀리는 이유로 계획 축산을 꼽았다.

장 사무차장은 “우리나라 축산업은 이윤 창출이 목적인 반면 북한은 분배중심 축산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며 “이익을 내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닌, 주민들에게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가축을 길러야 하는지 계산해서 축산업을 하고 있는 이른바 계획 축산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윤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잉여가축이 없을뿐더러 계획대로 진행이 되는 축산업에 대해 북한의 관심이 크게 높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북한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에게 축산업은 후순위로 밀리게 되며 우리나라 당국자와의 협상에서도 크게 중요하게 다루지 않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은 축산업의 4대 고리로 △가축종자 문제 △먹이문제 △가축사양관리의 과학화, 합리화, 현대화 △수의방역사업 강화를 내세우고 있다.

조 위원은 북한이 부업축산을 강조하는 이유로 경제난 심화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UN대북경제제재로 인해 경제난으로 심해지면서 공동축산, 협동농장축산업이 부진한 상황”이라며 “토지 소유와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북한은 협동단체가 형식적으로 토지를 소유하고 있지만 대부분 조선노동당이나 기관 간부들을 먹여 살리는 데 활용되고 있어 협동농장 축산업이 부진한 것은 북한 입장에서는 중요한 사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장춘용 굿파머스 사무차장은 북한에서 축산업이 후순위로 밀리는 이유로 계획 축산을 꼽았다.

장 사무차장은 “우리나라 축산업은 이윤 창출이 목적인 반면 북한은 분배중심 축산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며 “이익을 내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닌, 주민들에게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가축을 길러야 하는지 계산해서 축산업을 하고 있는 이른바 계획 축산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윤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잉여가축이 없을뿐더러 계획대로 진행이 되는 축산업에 대해 북한의 관심이 크게 높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북한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에게 축산업은 후순위로 밀리게 되며 우리나라 당국자와의 협상에서도 크게 중요하게 다루지 않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