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경제활동, 문화·여가 순
농진청, 복지실태조사 결과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생활서비스 이용을 비롯해 농촌의 정주여건은 아직까지 열악하고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공동체 활력이 저하돼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정부의 농어촌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지원과 농어촌 주민들의 자구적인 노력이 이어지면서 농어촌지역의 복지 만족도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이 최근 농어촌지역 2780가구와 도시지역 1149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 실태조사’ 결과 농어촌 주민이 느끼는 복지 만족도가 52.2점(100점 만점)으로 5년 전보다 평균 7.8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제활동’분야가 7.7점 상승했으며 그 뒤로 ‘문화·여가(7.5점), ’보건의료(3.1점)‘, ’환경·경관(2.6점)‘ 순으로 상승했다.

한편 농어촌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부문은 62.8점을 보인 ‘환경·경관분야’와 60.7점을 기록한 ‘이웃과의 관계’였다. 도시와의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난 부문은 13.9점 차이를 보인 ‘보건의료’였으며 ‘기초생활여건(11.3점차)’, ‘교육(8.2점차)순이었다.

# 복지 = 농어업인에 대한 건강·연금보험료 지원사업 등 사회안전망에 대한 만족도가 2013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업인 건강·연금보험료 지원사업 만족도는 2013년 60.4·60.8점에서 2018년 67.1·65.0점으로 각각 상승했으며 기초(노령)연금 만족도 역시 52.2점에서 70.1점으로 높아졌다. 하지만 질병이나 사고 또는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는 도시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의 70% 이상이 ‘준비돼 있지 않다’고 답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도 요구된다. 필요한 복지서비스로는 생계비 지원 등 ‘소득지원 서비스(14.9%)’와 바우처 등 ‘문화여가 지원(11.2%)’을 꼽았다.

# 보건의료 = 농어촌 주민들은 질병치료 시 ‘치료비 부담(32.0%)’, ‘의료기관까지 이동이 어려움(13.4%)’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까지 이동시 농어촌은 ‘개인차량(52.3%)’, 도시는 ‘도보(42.8%)’로 이동한다고 답해, 접근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기초생활여건 = 생필품 구입과 목욕·이미용 시설 등 ‘생활서비스’와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에서 특히 도시와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생활서비스 만족도는 농어촌지역이 46.7점(면지역 43.0점, 70대 43.6점), 도시지역이 66.8점을 보였으며, 대중교통 만족도는 농어촌 48.6점(면지역 46.2점, 70대 47.8점), 도시 64.3점으로 나타났다.

# 교육 = 농어촌 주민들은 ‘방과 후 프로그램 지원(27.1%)’과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프로그램 개발(21.7%)’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 문화·여가 = 농어촌 주민들의 주된 문화·여가활동은 ‘TV시청(33.0%)’이었으나, 향후 희망하는 활동으로는 ‘여행(31.8%)’을 꼽았다. 문화·여가 활동의 어려움으로 ‘시간 부족’, ‘비용 부담’이 가장 높았으나, ‘시설·프로그램 부재’라는 응답은 5년 전 대비 감소했다.

관련 전문가는 “농어촌 복지향상을 위해서는 응급의료를 비롯해 기반시설 조성에 국가적인 대응책이 필요한 반면 문화·여가프로그램이나 보건·복지 프로그램 같이 지역차원에서 자원을 갖춰야 하는 정책도 추진돼야 한다”며 “농촌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필수 기반시설 조성 뿐 아니라 다양한 인적자원 활용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2018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 실태 조사결과는 ‘농어업인 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4차 기본계획(2020~2024년)’ 수립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김미희 농진청 환경자원과장은 “이번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결과를 통해 5년 전 대비 농어촌 삶의 질 만족도가 상승한 부분과 개선이 필요한 과제들이 파악됐다”며 “농어촌 주민들의 요구가 정책에 반영돼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