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문제·주파수 간섭 시급히 해결해야
고가 소모품에도 불구 보관 온도에 따라 빠른 배터리 소모
주변 조종기·드론 사용 주파수가 서로 엉키는 현상 종종 발생
분사각도·풍압 등 관리 기준 보완한

[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글 싣는 순서>

(상) 짜깁기의 한계
(하) 기술적 차별화 이뤄야

10분도 채 되지 않는 시간에 5000㎡(약 1500평) 농지에 작물보호제(농약) 처리가 끝나는 농업용 드론. 이러한 편리함으로 고가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화제를 몰고 다니지만 현장에서는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고질적인 주파수 간섭이나 배터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농업용 드론시장의 90% 이상을 중국 제품이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국산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 배터리=고가의 소모품

고가의 장비로 알려진 농업용 드론. 본체뿐만 아니라 조종기 및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해 2000만원이 호가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하지만 정작 배터리를 완충해 드론을 날릴 수 있는 시간은 15~30분 정도다. 농업용 드론은 10리터 내외의 농약을 싣고 비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고 배터리 소모도 많다. 때문에 배터리 여러 개를 교체해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현재 농업용 배터리 가격은 개당 50만원선으로 알려져 있지만 더 고가의 제품도 많다.

현장에서는 이러한 농업용 드론 배터리의 문제로 높은 가격이나 짧은 비행시간보다 관리를 꼽는다. 보관온도 등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가뜩이나 짧은 비행시간이 더욱 짧아지기 때문이다. 평균 배터리 한 개로 250회 가량 비행이 가능하지만 관리에 따라서 비행횟수가 반으로 줄기도 해 ‘고가의 소모품’으로 불리고 있다.

# 주파수 간섭 해결해야

다음으로 주파수 간섭문제다. 최근에는 새로운 드론 모델이 출시되는 시기가 빨라지면서 기존 제품보다 뛰어난 장애물 회피, 정밀한 방제 및 정확한 이착륙 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주변에 드론이 많아지면 주변의 조종기나 드론과 사용하는 주파수가 서로 엉키는 현상이 종종 발생해 위험천만한 순간이 발생하곤 한다고 한다.

특히 중국산 제품이나 중국에서 부품을 들여와 조립한 제품의 경우 주파수 설정 등 시스템적인 부분을 중국 제조사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해결하기는 쉽지 않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해 조종을 하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되는 등 발전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상용화는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직각분사·풍압 등 기술보완

마지막으로 PLS(농약허용기준강화)에 따른 기술적 보완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요구되고 있다. 올해 전면 시행된 PLS로 농업 현장에서는 드론 방제에 따른 비산 우려가 크다. 특히 대부분의 드론 방제시 노즐이 분사형이기 때문에 바람을 타고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분사각도(직각분사), 풍압 등에 대한 관리 기준 요구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이를 반영한 기술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한 작물보호제 제조사 관계자는 “PLS에 대해 일본처럼 드론과 관련한 규제나 관리,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비산 등에 따른 현장의 우려가 크다”며 “관에서는 제도적으로 보완할 부분을, 산업계에서는 기술적으로 개선할 부분에 대해 보다 많은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