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 김용환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겸임교수(팜한농 상임자문)
 

▲ 김용환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겸임교수(팜한농 상임자문)

‘바이오경제(bioeconomy)’의 출현은 농업 R&D(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중요한 글로벌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바이오경제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2015년 베를린에서 50여개 국가가 참석한 바이오경제 정상회의에서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 생물자원의 생산과 활용, 혁신적 생물공정과 모든 경제 분야를 망라해 지속가능하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칙’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
 

바이오경제는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조명한다. 첫째는 ‘생물자원’의 관점으로 에너지와 물질 측면에서 화석자원을 생물자원으로 대체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둘째는 ‘생명기술’의 관점으로 생명과학의 혁신을 통해 새로운 산업생산의 기회를 만드는 것에 초점을 둔다.

세 번째 관점은 ‘지속가능성’의 관점으로 생명자원과 생명기술을 이용하고 순환경제의 원칙을 적용해 경제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관점은 상호 연결돼 있으며 농업시스템에 있어서 기본적인 아젠다가 되고 있다. 
 

정부도 올해 바이오경제의 성과 창출을 위해 3조원 규모의 투자방안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올해 생명공학육성 시행계획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의료 분야에 1조9000억원을 투자해 신약 개발 및 바이오의약품 생산전문인력 양성과 해외 우수인력의 국내 유치 등을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있다.

농업 분야에는 10%에 못 미치는 2800억원이 책정됐다. 
 

전세계 유수의 농화학기업들이 생물농약 개발을 위해 적극적으로 연구전문기업을 인수하는 등 자체 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

시장전문조사기관인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생물농약과 생물촉진제(biostimulant)를 포함하는 농업생물제품시장은 2017년 기준 68억달러에서 연평균 13.8% 상승해 2022년에는 129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농업생물제품을 통해 농약 잔류나 환경독성 문제와 같은 기존 화학농약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시장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또 과거와는 달리 농업생물제품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투자가 집중되고, 재현성 있는 결과들이 만들어짐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도 기인한다.
 

바이오경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생명과학기술이다. 대표적인 기술인 유전자편집기술은 유전자가위라고 불리는 핵산분해효소를 이용해 유전체를 자르거나 혹은 원하는 서열을 삽입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인간세포 및 동식물 세포의 유전자를 편집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좋은 품종을 얻을 수 있다. 외부의 DNA를 넣지 않는다는 점에서 GMO(유전자변형생물체)와 대비된다.

미국의 농업바이오벤처기업인 칼릭스트(Calyxt)는 유전자편집기술로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인산이 많이 함유된 콩 개발에 성공해 농업 분야에서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유럽을 제외한 미국, 브라질, 일본 등 많은 국가들이 유전자편집기술 수용에 긍정적이다. 앞으로 유전자편집기술은 지속적으로 확산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 기술투자를 촉진해야 한다. 또한 기술 수혜를 높이고 오남용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적인 체계가 하루빨리 구축돼야 하고, 윤리적인 이슈에 대해서도 사회적인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바이오경제 시대에는 경쟁에 뒤지지 않도록 신속하면서도 과학적 의사결정을 위해 소비자와의 소통이 더욱 중요하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