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박현렬 기자]

조생종 양파의 산지폐기와 정부의 시장격리가 이뤄졌지만 현재 양파가격은 평년(1kg 상품기준 800원) 수준에 턱없이 못 미치는 400~500원대를 기록, 농가 경영안정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전국양파생산자협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 양파재배농업인 300여명은 지난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로공원에서 ‘양파가격 대책 수립 촉구를 위한 전국양파생산자대회’를 개최하고, 조속한 수급대책을 촉구했다.

# 150만톤 넘는 최대 생산량 전망

지난 16일 전국에서 300여명이 넘는 양파생산 농업인이 일손을 놓고 서울 광화문 세종로 공원에 운집해 정부 대책을 촉구했다. 양파가격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곤두박질치면서 ‘빚으로 생계를 이어가야 할 지경에 처했다’는 것이다. 특히 연이은 양파가격 폭락은 정부의 수급예측 실패와 무분별한 양파 수입에 기인한 만큼 정부에서 책임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을 전개했다.

남종우 전국양파생산자협회장은 “양파 재배농업인들이 지난해부터 수급대책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촉구했지만 정부는 늑장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주요 농산물은 생산기반이 무너지면 복구하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입을 하게 되면 더 많은 비용이 소요돼 정부가 수급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양파생산자협회는 올해 양파 생산량을 평년 보다 20% 수준이 증가한 150만~160만톤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역대 최대 생산량을 기록한 2014년 150만톤을 넘는 수치다.

# 현장과의 괴리로 늑장대응

이러한 양파 수급문제와 관련해 농업인들은 정부의 늑장대응이 현장과의 괴리 및 잘못된 수급정책의 결과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통계청,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에 따르면 2018년 산 조생종 양파와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이 지난해나 평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달 양파 전체 공급량은 평년보다 1만6000톤 많은 17만6000톤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양파생산자협회는 통계청이 지난해 보다 35% 증가한 것으로 발표한 올해 양파 재배면적 2만6418ha는 실제와 차이가 크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양파 생산량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가격이 폭락했었던 만큼 올해는 현장에서 생산량의 약 20%를 줄였다는 것이다. 다만 현재 생산량은 겨울철 기상조건 호조에 따른 단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했다. 생산량이 늘어 가격이 폭락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결과지만 원인에 대한 분석이 달라 선제적 대응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전농 관계자는 “생산농가, 농협 등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올해 양파 생산량이 사상 최대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현장에서는 예측하고 있다”며 “통계청 발표처럼 재배면적까지 2.2% 증가했다면 생산량은 최대 3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미 폭락 장세가 지속, 중만생종에까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고 말했다.

# 추가대책 ‘속 빈 강정’ 빈축

이에 따라 양파 재배농업인들과 전농은 양파 수급대책으로 올해 초과 생산량의 시장 격리를 비롯한 가격안정 대책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공공수급제 실시를 비롯해 채소생산안정제 확대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한 수급방안 협의체 구성, 농협 계약재배 확대 등을 강조하고 있다.

도매시장 관계자도 “양파 재배면적 변화에 따른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고 소비량 등에 대한 조사가 면밀히 이뤄져야 사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수급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며 “농업인들이 생산원가 이상의 소득을 얻기 위해서는 적정 생산량 등에 대한 연구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7일 중·만생종 양파 및 마늘 추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 다각적인 소비촉진을 통해 가격조정에 따른 수요 증가분을 최대한 시장에서 흡수시키고 일부 과잉물량에 대해선 수매비축(6000톤 수준)과 수출 촉진(1만5000톤 내외), 산지 출하정지(1만2000톤 내외) 등 시장 격리를 병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농은 이러한 농식품부의 추가 대책 발표에 시기가 늦었으며 내용이 부실하고, 통계는 현장 상황과 괴리가 크다고 비판했다. 농업인의 요구는 전혀 반영되지 않은 채 수출만을 장려하고, 수입된 물량의 방출을 자제하겠다는 입장이라며 대책을 재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