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옥 연구위원
주요 채소류 수급환경 변화·대응 방안
이상기변 잦아 수급불안 발생
채소류 안정적 생산 필요성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채소류 수입이 확대되고 있고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이상기상이 잦아짐에 따라 수급불안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채소류의 안정적 생산 또한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농업관측을 활용한 수급안정 실행조직 육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최병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연구보고서 ‘주요 채소류의 수급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을 통해 “채소류 가격은 과거와 달리 국내 생산량과 소비량 외에 수입량, 기상변화, 대체재 생산 소비량 등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며 “이러한 복잡한 요인들의 종합적인 검토·분석을 통해 정부정책이 수립돼야 하고 무엇보다 관측정보 고도화를 통해 생성되는 수급관련 정보를 선제적으로 활용해 수급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실행조직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정부의 수급안정사업의 주요 수단인 계약재배, 수매비축, 시장격리 사업을 평가하고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정부가 시장 개입 수단인 수매비축과 시장격리 사업을 지속하고 있어 농협의 계약재배 비율이 향상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수매비축과 시장격리 사업은 농가소득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적고, 특히 시장격리는 사회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어 계약재배에 참여한 생산자만을 대상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최 연구위원은 “정책 부문에서는 정부의 수급안정사업을 농협 등의 생산자 단체가 채소류 계약재배 방식으로 전환해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농업관측정보를 활용해 예상되는 수급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사전 대응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관측 정보를 활용해 수급안정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조직의 육성이 필요하다”며 “품목별 중앙주산지협의회, 지자체 등과 연계한 사전 재배면적 조절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채소류 수급안정사업과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