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식량자급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2017년 현재 지난해보다 2%포인트 줄어든 48.9%이며, 곡물자급률은 23.4%에 불과한 상황이다.

품목별로는 쌀과 서류는  103.4%, 105.3%로 높지만 이를 제외한 보리쌀은 26.0%, 콩은 22.0%, 옥수수 3.3%, 밀 1.7% 등 대다수의 곡물 자급률은 바닥세를 보이고 있다.

쌀을 제외하면 식량자급률은 8.9%, 사료를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고작 3.1%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다수의 선진국들이 곡물자급률 100%를 상회하는 것을 볼 때 심각한 수준이다.

또 소고기는 2004년 이후 줄곧 40%이상을 유지해 왔으나 2016년 38.6%로 하락한 이후 2017년 36.4%로 추가 하락했다. 돼지고기 역시 지난해 66.9%를 보이며 70%대가 무너졌으며 우유는 10년 사이에 20%포인트나 급락, 현재 49.3%의 자급률을 보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18~2022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농발계획)’을 통해 발표한 2022년 목표 식량자급률은 55.4%, 곡물자급률은 27.3%이다. 이 목표치는 이전 농발계획 60.0%, 32.0%보다 각각 4.6%와 4.7% 낮아진 수치이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하락세라면 이같은 목표는 달성은커녕 목표치를 또 한번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더 큰 문제는 농업 강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체결로 관세가 갈수록 내려가 수입산의 가격 경쟁력은 더 높아지고, 여기에 최근 들어 공세적인 마케팅과 품질경쟁력까지 더해져 국내시장을 맹공략하면서 이같은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한 번 떨어진 자급률을 복구하는 건 쉬운일이 아니다. 이전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가능한 일이다. 

식량문제는 부족하면 언제든 수입해서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식량안보차원에서라도 적정 식량을 확보하고 유지해야 하는 게 시급하다. 여기에 우리나라는 통일을 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도 식량자급률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수입 농축산물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상품력를 확보하는 동시에 다양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시장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HMR(가정간편식)과 온라인 시장 확산 등 시장여건에 발맞춰 상품을 개발하고, 공급라인을 확보하는 등 발빠른 대처를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