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농업인, 영농활동 주체…위상은 여전히 낮아
여성 농업인에 대한 인식 부족
여성 농업인 영농활동 위한
가사·육아지원 확대 등
현실적·제도적 지원 필요

[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사회 전반에서 여성의 권익신장과 사회진출 확대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농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분위기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되고 있다. 이미 농촌에서는 여성농업인을 빼고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사실이 당연시 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농업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 농사일 50% 이상 도맡아

농림축산식품부의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성농업인이 농사일의 50% 이상을 담당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52.5%로 나타났다. 농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것은 여성농업인이라는 표현이 과장된 게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농업경영체수에서도 매년 여성 농업경영체가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2015년 39만6000여명이던 여성 농업경영주는 지난해 44만8000여명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전체 경영체에서 여성 농업경영체가 차지하는 비중도 24.9%에서 27%로 확대됐다. 또한 공동경영체에서도 지난해 기준 전체 공동경영주 가운데 여성 공동경영주가 89.1%를 차지하는 등 빠르게 늘고 있다.

연령별 인구분포에서는 70대 이상이 35.9%, 60대가 30.4%, 50대가 22.4%, 40대가 7.1%, 30대 이하가 4.2% 순으로 전체 농업인의 고령화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 여전히 낮은 위상

이러한 사실을 통해 현재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감소 속에서 여성농업인의 인구감소가 상대적으로 더디고, 여성이 영농활동의 주체로서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여성 농업인들의 농·축협 조합장이나 임원 비중은 여전히 낮은 수준인 등 사회적 활동부분에서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고령농업인이나 여성농업인이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 농기계의 비중도 낮아 이에 대한 보완 요구도 높은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여성 농업인들의 영농활동 확대를 위한 가사 및 육아지원 확대 등 현실적인 제도적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울러 여성 농업인과 관련해 빼놓을 수 없는 부분 가운데 하나는 다문화가정의 증가다. 최근 이주 여성 농업인이 늘면서 이들의 농촌 정착을 위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 여성 농업인 전담팀 신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올해 △양성이 평등한 농업·농촌 구현 △여성농업인 직업역량 강화 △복지·문화서비스 제고 △지역에서의 여성 농업인 역할 확대 △다양한 농촌여성 주체 양성 등을 목표로 한 ‘2019년 여성 농업인 육성 시행계획’을 수립해 발표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성인지 교육 확산과 농협 여성 조합원이 30% 이상인 여성이사 의무선출 조합에 대해 여성이사를 선출토록 하고 조합원 역량교육도 추진키로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여성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및 리더십교육, 농업기계화촉진법 개정에 따른 여성 농업인 농기계 개발, 농촌공동아이돌봄센터 확충, 영농도우미 지원 강화 등을 포함시켰다.

이어 최근에는 여성농업인 정책을 전담하는 ‘농촌여성정책팀’을 신설, 여성 농업인 정책 전담인력을 2명에서 6명으로 확충하는 내용을 담은 ‘농림축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기도 했다.

#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현장에서의 체감온도는 높지 않다.

지난해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여성 농업인이 꼽은 시급한 과제로 과중한 노동부담 경감(24.2%), 복지시설·제도 확대(22.5%), 경제·사회적 지위 향상(17.6%), 보육·교육 시설 확충(16.8%) 등으로 조사됐다. 여성 농업인은 여전히 영농활동뿐만 아니라 육아와 가사 등 과중한 노동에 부담을 느끼면서도 경제·사회적으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이명자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장은 “최근 농식품부에서 여성 농업인 전담팀을 신설키로 했지만 앞으로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는가가 보다 더 중요하다”며 “현재 농촌에서는 여전히 여성 농업인의 사회적 진출이 막혀있고 고령·여성 농업인을 위한 농기계도 미비한 수준인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