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오리를 포함한 가금업계의 최대 소비 성수기인 복경기가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오리업계는 늘어난 냉동비축 재고량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017년 AI(조류인플루엔자)예방책으로 오리사육제한이 처음 실시되면서 오리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수급량을 예측하지 못한 탓에 공급량이 부족해 오리가격이 크게 올랐던 것이다. 이를 거울삼아 지난해 오리계열업체들은 비축물량을 늘렸다.

그러나 지난해 AI가 발생하지 않고 소비도 부진하면서 냉동비축물량이 고스란히 재고로 남게 된 것이다.
 

지난해 재고량은 올해 대대적인 훈제오리 가격할인 행사로 이어졌다. 오리계열업체는 앞다퉈 가격을 할인하면서 치킨게임에 돌입했다. 누구하나 죽어야 끝나는 이 게임에서 승자는 없고 적자폭만 커지고 있는 상처입은 패배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복특수를 앞두고도 오리업계는 여전히 울상이다. 계열업체는 늘어난 적자폭을 감당하지 못하고 복특수만을 바라보고 있다. 입식량이 줄어들면서 농가들도 사육수수료가 크게 줄어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매년 오리사육제한으로 1년에 반을 놀다시피 해야 하는 사육제한 대상 농가들은 폐업까지 생각하며 생계를 고민하고 있다.
 

분명 국가의 방역정책으로 AI를 예방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 정책에서 피해를 입는 것은 오리업계, 오리농가들만의 몫이다.
 

업계의 치킨게임에 싼 가격으로 오리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은 이득을 보고 있는 것일까. 경쟁과열로 오리계열업체가 부도라도 난다면 그 피해는 누구에게 가게 될 것인가.
 

멀리 보고 제대로 보는 정책이 필요하다. 언제까지 오리농가만 울릴 것인가. 규제일변이 아닌 가금업계의 상생을 고려하는 제대로 된 AI 방역정책이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