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매년 상승세를 보이던 귀농·귀촌 인구가 지난해 감소세를 보였다.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이 지난달 27일 공동으로 발표한 ‘2018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귀농·귀촌인구는 49만330명으로 전년대비 5.1%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귀농·귀촌 인구가 큰폭으로 증가한데 따른 기저효과와 신중한 준비 경향, 인구 감소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직업이 3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주거 28.4%, 가족생활 24.4%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으로 농업을 택한 귀농인 중 농업에만 전업하는 귀농인은 70.8%를 차지했으며, 농업외 다른 직업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겸업 귀농인은 29.2%를 차지했다. 
 

귀농·귀촌 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40세 미만이 49.1%로 가장 높았고, 40대 16.5%, 50대 17.2%, 60대 이상이 17.2%로 조사됐다.
 

지난해 귀농·귀촌인구가 다소 줄어들긴 했지만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이어지고 있고, 농어촌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만큼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40세 미만 젊은 층의 귀농이 전년대비 2.3%증가해 귀농 통계를 생산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인 1356가구가 귀농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귀농·귀촌인구의 증가는 소멸위기를 맞고 있는 농촌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실제 농촌인구는 2010년 약 876만명에서 2015년 939만여명, 2017년 약 963만명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이 얼마나 농업·농촌에 잘 정착하느냐에 따라 그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성공적으로 정착한 우수 사례가 많이 나올수록 지속적인 귀농·귀촌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귀농·귀촌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지원 정책이 보다 확대돼야 할 것이다. 농식품부와 각 지자체별로 다양한 귀농·귀촌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도 실제 체감도는 높지 않은 게 사실이다.

직접적인 효과가 확대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의 대폭적인 확대와 맞춤형 정책 개발 등이 추진돼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원주민과의 원활한 소통과 융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과 농촌 주민들의 열린 마음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