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
남북 공조 적극 나서야
이동제한시 권역별
관리도 고려해야

[농수축산신문=홍정민·송형근 기자]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잠복기 등을 감안하면 다음달 10일까지 앞으로 3주간이 질병 차단에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이면서 확산방지를 위한 특별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파주·연천·포천·동두천·철원·김포 등 6개 시·군 ASF 방역 중점관리지역을 사수하기 위한 철저한 소독, 관리, 출하 등에 더해 야생멧돼지 감염을 막기 위한 조치와 개체수 조절, 더불어 ASF가 이미 발생한 북한과의 남북 공조에도 적극 나설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2005년 통일농수산사업단 양돈 사업단장으로 참여해 북한에 양돈장을 짓고 주기적으로 북한을 방문하며 교육·관리를 담당했던 김준영 수의사는 “ASF 확산방지를 위해 정부가 남북 공조에 대한 주장을 더 강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수의사는 “북한의 양돈장에는 질병 진단 장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고, 소독약 등도 구비돼 있지 않다”며 “베트남이 속수무책으로 당했던 것처럼 비슷한 상황으로 전개될까 심히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세계적으로 야생멧돼지를 통한 ASF 감염 사례는 적지만 바이러스가 야생멧돼지로 전파되면 사실상 ASF를 막을 수 없는 지경에 봉착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 적극적으로 개체수 조절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 축산담당 공무원 출신 수의사인 조충희 굿파머스 연구위원 역시 북한 내 열악한 방역 시스템에 대해 지적했다.

조 위원은 “서둘러 남북 공동방역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ASF 확산방지를 위한 특별대책 필요성에 더해 ASF 비발생 지역에 한해서는 유연성 있는 정책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국적으로 양돈 농가들의 인식이나 방역 수준이 과거와 달리 개선돼 있는 만큼 영남권, 호남권 등 권역별로 묶어 이동제한과 예찰, 방역 등을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경북지역의 한 양돈농가는 “경북은 740여 농가에서 50만마리가 넘는 돼지를 사육하고 있고 사실상 같은 경제 생활권으로 묶여 있다 보니 현실적으로 경북과 경남 등 영남권은 출하, 분뇨처리 등에서 긴밀히 교류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ASF가 발생한 경기도에서 타 시도로 넘어오는 건 확산을 막기 위해 당연히 필요하지만 당장 위험지역도 아닌 상황에서 별다른 해결책이나 보상책 등 대안도 없이 3주간 추가로 이동을 묶으면 더 많은 부작용과 혼란이 불가피해 방역에도 나쁜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육가공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ASF가 발생 초기인 만큼 살처분 방식도 매몰보다는 랜더링이나 완전소각 등 보다 강력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과거 구제역 등의 사례를 참고할 때 ASF가 혹시라도 경기권을 넘어 더 확산된다면 발생 농장만 살처분하는 게 전국적인 돼지고기 수급측면에서 현실적으로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일 ASF 전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발생농장 등 방역대(반경 10km) 내에 있는 107개 농장(파주 44개, 연천 63개)과 차량 역학 437개 농장 등 544개 농장에 대한 정밀 검사를 진행한다.

또한 ASF 발생 위험이 높은 특별관리지역(접경지역 14개 시·군) 등 전국 취약지역 돼지농가 1494개소를 대상으로 다음달 4일까지 정밀검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