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 방역 위해 남북 공조 시급

[농수축산신문=송형근 기자] 

재발 가능성 높아
국내 양돈산업 보호 필요성

북한 내 질병 진단 장비
소독약 등 공급할 수 있게
정부가 더 적극 나서야

▲ 임진농협이 지난 20일 ASF 확산 방지를 위해 파주 지역 일대에서 광역살포기를 이용한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의심·확진 농가가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정부의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선 남북 공조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우리나라가 ASF를 종식한다 하더라도 북한 내 퍼져있는 ASF 바이러스를 잡지 못하면 재발 가능성이 높아 국내 양돈산업 보호를 위해선 반드시 한반도 전체 방역활동을 실시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북한 축산담당 공무원 출신 수의사인 조충희 굿파머스 연구위원은 정부의 방역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선 휴전선 이남지역 뿐만이 아닌 한반도 전체 방역을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 위원은 “남한이 아무리 방역을 철저히 해 확산을 막는다 하더라도 북한 내 퍼져있는 ASF 바이러스가 남한으로 내려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중국과 맞닿아 있는 북한 국경부터 한반도 전체에 이르기까지 차단방역을 시행해야 한다”며 “ASF 바이러스가 생존력이 강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ASF 바이러스는 냉장고기에서 약 15주 간, 냉동고기에서는 최장 1000일까지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혈액 내에는 약 18개월, 피부에서는 300일간 바이러스 생존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 비춰볼 때 경기 파주, 연천, 김포, 인천 강화 등지는 돼지 재입식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2005년 통일농수산사업단 양돈 사업단장으로 참여해 북한에 양돈장을 짓고 주기적으로 북한에 방문하며 교육·관리를 담당했던 김준영 수의사는 “중국이나 베트남보다 우리나라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방역을 철저히 한다고 해도 현재 발생한 경기 북부 지역 밖으로 ASF가 퍼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한다”며 “농림축산식품부 주도로 정부 부처가 긴밀히 협조해 발 빠르게 대응해 나가되 북한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통일부가 북한 내에 질병 진단 장비, 소독약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수의사는 또한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가 발생 지역 인근 돼지를 미리 수매해 아예 감염될 돼지 자체를 없애는 강력한 방안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