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서울시의 친환경학교급식이 활성화되려면 친환경농산물의 품위 개선과 가격 안정 방안 등이 수립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정만철 농촌과 자치연구소 소장은 지난 1일 서울시친환경급식광역산지협의와와 한국유기농업학회가 주최한 ‘서울 친환경급식 10년, 성과와 과제’ 지속가능한 친환경급식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이 같이 밝혔다.

정 소장은 ‘서울 친환경급식 성과와 과제’ 주제발표에서 “생산자단체와 학교 관계자와의 교류 기회를 늘리고 상시 정보 제공을 통해 친환경농업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필요가 있다”며 “이해당사자 간의 협의를 통해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반영한 농산물 기준을 마련하고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클레임 비율 감소를 도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학교급식에 사용하는 친환경농산물 비중 확대에 있어 품위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특히 유기농산물의 경우 품위를 맞추기 더 힘들기 때문이다.

그는 “기상이변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농산물 가격 폭등으로 인한 손실을 생산자가 부담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한살림 등 생협의 생산안정기금과 유사한 서울시 친환경학교급식 가격안정기금의 도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정 소장은 이어 “잔류농약검사비, 검품·검수 지원 인건비 등의 유통비용을 공급업체에서 부담해 배송업체의 배송수수료와 학교 공급가격이 상승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안전성 검사 비용 등 공급업체가 부담하는 비용을 서울시, 친환경유통센터가 분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권사홍 흙살림푸드 대표는 ‘농촌현장에서 바라보는 친환경급식의 성과와 희망’ 발표를 통해 “2013년 생산자 중심 공급체계로 전환이 시작됐으나 그에 맞는 운영체계와 방식이 개선되기까지 3년 반이나 걸렸다”며 “생산자(단체)와 영양교사가 직접 만나 소통하는 공동생산자대회는 1년에 한 번 만나는 방식임에도 1년 만에 ‘자연애호박’이라는 성과를 냈다”고 말했다.

권 대표는 “서울친환경학교급식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한 핵심 아젠다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그 아젠다에 에너지를 집중하는 현명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