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가공식품활성화 세미나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가공용쌀 정책이 재고미 처분 위주가 아닌 식품원료로서의 쌀 소비 증진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영민 한국쌀가공식품협회 전략기획실장은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쌀가공식품산업활성화 정책세미나’에서 ‘이제는 쌀 소비시대!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쌀 소비 활성화’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최 실장은 주제발표에서 “쌀가공식품산업은 정부 재고미를 처분하기 위한 대책으로 태동됐으나 최근에는 쌀 소비확대의 거의 유일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식품원료로서의 쌀의 가치도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제는 가공용쌀 정책을 재고미 처분을 위해서가 아니라 식품원료로서의 쌀 소비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발표에 따르면 정부는 쌀 생산량 증가에 따른 쌀 재고 부담을 덜기 위한 대안으로 가공용 쌀을 민간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후 정부양곡 재고량이 크게 증가했던 2016년부터 가공용 쌀 공급가 인하, 쌀 막걸리 제조 허용 등 규제가 완화되면서 쌀가공식품산업의 발전 토대가 마련됐다. 이에 쌀가공식품업체는 1986년 14개사에서 2017년 1만6000개소로 늘었으며 시장규모 역시 2008년 1조8000억원에서 2017년 4조9000억원 규모로 확대됐다.

그러나 이처럼 쌀가공식품산업이 성장했음에도 정부는 여전히 쌀가공식품산업을 재고미 처분 산업군으로 인식하고 가공용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게 최 실장의 지적이다.

최 실장은 “쌀 생산량과 재고미가 줄면 가공용쌀 공급가격도 오르는 등 가공용 쌀 공급 정책이 수시로 변해 쌀 이외에 대체 원료가 없는 쌀가공식품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면서 “재고미 처분 용도의 가공용 쌀 수급정책에서 탈피해 산업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가격과 원료공급의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최 실장은 “이를 위해 정부는 가공용쌀 소비량과 쌀가공산업 매출액 등에 대해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장기적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최정운 한우물영농조합법인 대표도 “정부가 쌀가공식품산업이 쌀 소비를 늘리는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해 주길 바란다”며 “재고미 소진을 위해서가 아니라 고품질의 가공용쌀로 부가가치를 높이고 쌀 소비를 늘리는 업계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송지숙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산업과장은 “정부도 농업인뿐만 아니라 식품산업계도 중요한 정책 고객이라는 걸 인지하고 있다”면서 “쌀 수급의 균형을 맞추고 쌀 소비를 늘리는 데 기여하고 있는 쌀가공식품산업의 안정과 육성을 위해 가격과 원료공급의 안정화를 고려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