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마을과 사람을 잇는 농업실천 '사회적 농업' [下] - 사회적 농업 활성화 수단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청년들은 농업기술을 열심히 배워 자기만의 농장을 꾸리고 싶지만 경제적 기반이 없어 선뜻 농촌으로 가지 못한다. 또한 각종 인프라와 서비스가 단절된 농촌에서의 삶을 감당할 자신이 없어 농촌에서의 삶을 꺼리기도 한다.

앞서 소개한 ‘청년마을(주)’와 ‘(사)10년 후 순창’은 두 고민을 모두 갖고 있는 귀농·귀촌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농업 실천조직이다. 최소 6개월에서 1~2년간 마을에서 영농실습을 하고 마을 안에서 다양한 사회적 경제 활동을 실천한다. 먹고 사는데 필요한 다양한 ‘생활기술’을 배우고 교류할 수 있는 거점과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유리나 농정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사회적 농업의 발전경로 및 경영성과 분석’ 연구를 통해 “노인과 장애인을 마을 안에서 보살피고 이들과 함께 농사짓고 상품을 판매하는 사회적 농업실천은 결국 새로운 농촌 주민의 유입으로 마을 공동체가 유지되고 활성화되는 토대 위에 이뤄지는 일”이라며 “농림축산식품부의 사회적 농업 지원 사업이 또 하나의 보조 사업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기존 귀농·귀촌 지원 사업 꼭지마다 사회적 농업 지원사업과 연계될 수 있는 부분을 연결하려는 정책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유 선임연구원은 “빈집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수리비 지원 사업, 귀농닥터 사업 등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을 돕는 사회적 농업 실천모델과 접목될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끝>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