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도시민 절반 공감하지만
절대적 수치는 감소세
공익적 기능 강화
실천적·구체적 정책 방안 필요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농업·농촌의 중요성과 공익적 기능에 대해 농업인과 도시민 모두 과반수 이상이 공감하고 있지만 절대적인 수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국민과 사회가 요구하는 농업·농촌의 공익적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창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실시한 ‘2019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결과를 통해 제기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농업인의 약 53%, 도시민의 약 55%가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차별로 보면 도시민이 생각하는 농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2011년 73.1%에서 2015년 60.9%로 절대수치가 하락하는 모양세를 보이고 있다.

농업·농촌에 대한 공익적 기능 관련 인식조사결과를 보면 도시민의 64.2%는 ‘가치가 많다’라고 답했으며 ‘전혀없다, 별로없다’는 5.3%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 역시 ‘가치가 많다’는 답변이 2017년 70.0%에서 2019년 64.2%로 5.8%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다만 ‘보통이다’는 답변은 2017년 26.5%에서 2019년 30.4%로 3.9%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민들에게 은퇴 후 귀농·귀촌의사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34.6%는 ‘귀농·귀촌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59.3%는 ‘귀농·귀촌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귀농·귀촌 의향이 있다’는 비율은 2011년 63.7%에서 2019년 34.6%로 29.1%포인트 감소했으며 ‘귀농·귀촌 의향이 없다’는 의견은 2011년 36.4%에서 2019년 59.3%로 22.9%포인트 증가해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이 줄어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정민 농경연 전문연구원은 “국민들이 갖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 전통문화 계승과 여가 향유공간 제공, 국토 균형발전, 환경·생태계 보전 등의 공익적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실천적·구체적인 정책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밟혔다.

더불어 이 전문연구원은 “도시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가 지속되는 환경에서 이들의 귀농·귀촌 확대를 위해 지역사회가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청년층 유입을 지원하는 귀농·귀촌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