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자원 남획·해양환경악화 문제 해결 '열쇠'
국가기관서 초기 연구 수행후 민간에 기술 이전해야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수산자원감소 등에 대응해 국내에서도 곤충배합사료와 관련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양식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전 세계적으로 배합사료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연구가 수행돼 왔다. 특히 최근에는 배합사료 원료 중 어분을 줄이고 곤충, 채소 등을 재료로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배합사료의 원료에서 어분을 줄이는 것은 생산비 절감과 함께 수산자원 남획방지 등을 위한 측면이 강하다. 전 세계 통계누리집인 인덱스먼디(indexmundi.com)에 따르면 1999년 12월 1톤당 412달러였던 국제 어분가격은 2004년부터 가파르게 상승, 2013년 1월에는 1919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지난해 11월에는 1360달러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문제는 향후 국제어분가격이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이 없다는 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수산자원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어분의 공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 양식업의 확대로 수요는 증가세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광어를 시작으로 배합사료 사용 의무화가 이뤄진다는 점에서 어분대체를 위한 곤충배합사료 등이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기준 연간 8만톤 가량의 천해양식어류가 생산되는데 양식업계에서는 경제성과 효율성을 이유로 배합사료보다 생사료를 선호하고 있다. 생사료는 수산자원남획과 양식어류의 안전성 문제, 해양환경 악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22년 광어를 시작으로 배합사료 의무화를 시행하겠다는 방침인터라 어분대체제인 곤충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수현 KMI 수산업관측센터 팀장은 “곤충배합사료 연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어분을 대체, 수입대체효과를 낼 수 있는데다 품질 좋은 배합사료의 공급을 통한 양식산업의 경쟁력 강화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양어용 배합사료 시장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국가기관에서 곤충배합사료 등의 초기연구를 수행, 민간으로 기술을 이전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계영 아쿠아인포 편집장은 “국내는 양어용 배합사료의 시장 규모가 작은 터라 배합사료 의무화 시 이미 글로벌역량과 인프라를 갖춘 다국적기업에 유리할 수도 있다”며 “국내 양식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민간사료기업들의 품질경쟁력 향상을 위한 역량 및 인프라 구축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영 KMI 수산업관측센터 전문연구원은 “국내에서도 해외와 동일하게 동애등에 곤충분을 이용한 배합사료가 개발됐는데, 곤충배합사료는 어분함량을 줄이고 사료효율은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배합사료 사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곤충분을 활용한 배합사료 연구결과가 시장성 있는 제품으로 상용화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