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사육 휴지기제로 생산량 급감·산업 타격 극심
사육시설 개선으로 산업 발전·오리수급까지 잡아야

[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2010년부터 거의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한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산업은 무엇일까.

생산액 1조를 넘기며 전성기를 구가하던 오리산업은 AI로 인해 사양길에 접어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연 오리사육제한말고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는 것일까. 오리 사육시설에 대한 현장 상황을 알아보고 AI 대책으로 떠오르고 있는 오리사육시설 개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上. 오리산업, 6년만에 ‘반토막’

下. 오리사육시설, 개편이 필요하다

 

#오리사육제한, 근본 대책 안돼

2011년 생산액 1조4000억원을 기록한 오리산업은 반복된 AI로 상승세를 타던 오리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줄지어 문을 닫으면서 꺾이기 시작했다. 2017년 오리 생산액은 8700억원으로 단 6년만에 40%가 급감했다.

꺾인 오리산업의 성장세만큼 소비자들의 인식도 반감됐다. AI의 주범인양 낙인찍힌 오리산업은 급기야 2017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겨울철 오리농가 사육제한 사업이 올겨울 3번째 시행되면서 정례화되는 모양세다.

일명 오리사육 휴지기제는 사육만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오리수급불안에 따른 가격불안정으로 오리산업 자체를 휴지, 즉 쉬게 하고 있다.

오리업계의 한 관계자는 “오리사육 제한이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오리사육을 제한해 질병을 막겠다는 전근대적 사고방식 보다는 산업의 발전과 식량안보를 위한 오리수급까지 고민 할수 있는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리사육제한, AI 방역 해답될까.

최근 오리산업은 2010년부터 거의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한 AI에 따라 수급불균형과 가격하락 등 불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AI 발생에 따라 살처분으로 인한 수급불균형 이외에도 가축전염병 예방법, SOP(긴급행동지침) 개정에 따른 규제 강화가 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17년부터 첫 시행한 겨울철 오리농가 사육제한은 올해 3번째 시행됐다. 문제는 지자체장에 대한 사육제한 명령권 부여로 대대적인 사육제한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출하 후 휴지기간 14일 일제 입식과 출하 준수로 생산량 급감에 따른 큰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오리산업은 그간 오리농가의 시설이 열악하다는 이유로 AI의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그러나 산업의 피해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사육제한 등 오리의 입식을 금지해 AI를 예방하려는 임시방편적 탁상행정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때문에 AI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오리농가의 사육시설을 개편해 나가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