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작물보호제 업계에는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과거 작물보호제 업계의 최대 책무는 국가적 굶주림 해결을 위해 농약(작물보호제)을 제 때,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었다. 통행금지 시간에도 농약 운반 차량은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로 농약의 원활한 공급은 국가적인 우선 사업 가운데 하나였다. 작물보호제 업계 역시 식량증산이라는 지상과제 달성을 위해 매진하며 성장·발전해왔다.

 

이후 우리나라는 빠르게 경제성장을 이뤄나갔고,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던 농업에는 다른 과제가 부여되기에 이르렀다. ‘단순히 많이 생산하는 것’에서 ‘안전한 고품질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으로 변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도도 바뀌고 있다. PLS(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나 GLP(우수실험실인증기준), 농약 안전관리 판매기록제 등의 도입·시행은 농업과 작물보호제 업계에 바라는 시대적 요구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변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시대적 요구와 더불어 농업·농촌이 바라는 작물보호제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뛰어난 약효만이 강조돼왔다면 지금은 약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약효는 기본이고 인축, 환경, 천적 등에 대한 영향도 최소화돼야 한다는 것이다. 사용에 있어서도 편리성을 높여야 한다. 분무기에 넣어 살포하는 방식에서 나아가 던지고, 무선으로 조종하는 등 방제는 편리하고, 살포횟수는 줄일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단순한 병해충 방제가 아닌 파종 전 단계부터 수확 이후까지 전 단계에 걸친 종합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작물보호협회의 역할도 변화해야 한다. ‘회원상호간의 친목과 복리증진을 도모하고 농약업계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에서 나아가 시대적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토대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새로운 기술이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는 만큼 이를 위한 R&D(연구개발)가 활성화돼 농업인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농산물의 안전성 홍보를 강화해 농약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개선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