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 제23회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포럼 참석자들이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그린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대표분야를 집중육성하고 산업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기초사업센터장은 지난 2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제23회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포럼’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린바이오산업은 농림축산업에서 생산되는 소재와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그간 국내에선 생명공학 기술이 의료와 약학 쪽에 접목된 레드바이오산업의 성장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 종자분야 유전자편집, 식물성 소재 식품·백신 기술 개발 등이 이뤄지는 그린바이오산업의 성장가능성이 주목받으면서 정부차원의 육성계획도 세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 센터장은 “정부는 농림수산식품 분야 R&D에 매해 약 1조원을 투자하고 있으나 이젠 산발적으로 이뤄지는 농림수산식품 분야 R&D 투자를 그린바이오 육성이란 명확한 목표 아래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마이크로바이옴과 백신, 부산물 소재 분야 등 성장가능성이 큰 분야를 그린바이오산업의 대표 선수격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해 R&D투자전략과 포트폴리오의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 센터장은 그린바이오산업의 진흥을 위해선 민간영역에서의 투자와 기술개발 등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산업생태계 조성과 규제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바이오산업의 R&D투자는 원천기술 확보와 연구인력 육성 등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차후에는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데에도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그린바이오 분야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투자와 함께 시장의 성장을 제한하는 규제 개선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 발표를 진행한 정광호 청원생명농협쌀조합 공동사업법인 연구소장도 그린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규제 개선이 이뤄져야 한단 점을 강조했다.

정 연구소장은 “벼 부산물인 미강이 매해 약 35만톤씩 발생하는데 이중 약 10%만 바이오 소재로 활용해도 950억원 정도의 신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면서 “이처럼 경제적 효과를 내는 그린바이오산업을 육성하려면 안전성이 보장된 농식품 부산물의 식품화를 위한 규제 개선과 식품안전성·기능성 인증의 지원 등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