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자금부족에 어려움…교육·정보제공·농외 소득활동 지원 강화키로
농식품부, 실태조사결과
귀농후 5년 지난후에야 귀농 이전의 소득수준 회복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 절반 이상이 가족이나 지인 통해 귀농·귀촌 정보 습득

‘자연환경이 좋아서’, ‘농업의 비전·발전가능성을 보고’, ‘도시생활에 회의를 느껴’ 등 다양한 이유로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 따르면 2018년 한해동안 49만330명이 귀농·귀촌을 통해 농촌에 유입됐다. 특히 40대 미만의 젊은층 유입이 늘어나면서 농업과 농촌의 가치가 재조명 받고 있다.

반면 이들이 농업·농촌에 안착하기까지 현실의 벽도 높은 게 사실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월 27일 발표한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귀농·귀촌의 변화와 향후 과제에 대해 살펴본다.

# 10명중 7~8명은 농촌에 연고 있어

귀농이나 귀촌을 결심한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가구는 54.4%, 귀촌가구는 29.5%로 귀농이 더 높았다. 반면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가구는 귀농 21.5%, 귀촌 27.7%로 귀촌이 더 높았다. 다만 귀촌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귀농·귀촌을 선택한 이유로는 귀농의 경우 ‘자연환경이 좋아서(28.6%)’와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을 보고(26.4%)’가 많았고 귀촌의 경우 ‘정서적 여유(21.2%)’, ‘자연환경(19.3%)’, ‘저렴한 집값(13.6%)’의 응답이 많았다.

특이한 점은 2040세대와 5060세대의 귀농 이유가 크게 다르다는 점이다. 40대 이하 2040세대의 경우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을 보고 농업을 선택했다는 이가 85.3%를 차지한 반면 50대 이상은 71.8%가 자연환경이 좋아서 귀농을 결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귀농 준비에 2년 가량 소요

귀농을 준비하는데에는 평균 25.1개월이 소요됐다. 가구주연령별로는 30대 이하가 평균 17개월, 40대는 20.2개월, 50·60대는 27.8개월, 70대 이상은 26.2개월로 젊을수록 준비기간이 짧게 나타났다. 준비기간 동안에는 주로 정착지역이나 주거·농지를 탐색하거나 귀농 교육을 받았는데 교육의 경우 귀농가구(59.9%)가 귀촌가구(21.1%)보다 각종 교육 이수를 많이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사전교육 미이수율이 30대 이하는 24.4%인데 반해 40대는 31.5%, 50·60대는 42.8%, 70대 이상은 66.4%로 연령이 높을수록 사전에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특히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귀농가구의 27.3%, 귀촌가구의 41.7%가 정보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절반 이상이 가족이나 지인을 통해 귀농·귀촌 정보를 습득했다. 더불어 귀농·귀촌교육에서도 가장 개선돼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28.6%)과 현장실습 연계 강화(20.3%) 등의 응답이 많았다.

# 귀농 5년 이후부터 원래 소득수준 회복

귀농 후 5년이 지난 후에야 귀농 이전의 소득수준을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귀농 1년차 평균 가구소득은 2828만원이었으며, 귀농 5년차에는 3895만원까지 높아져 귀농전 평균 가구소득 4400만원의 88.5% 수준으로 회복됐다. 다만 귀농을 하더라도 농업소득만으로는 부족해 절반 가량이 직장취업이나 농산물·가공식품 직접 판매, 임시직 종사 등 농업 이외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가구의 경우 1년차의 평균 가구소득이 3279만원이었고 4년차에는 4058만원으로 귀촌 이전의 평균소득 4038만원을 회복했다.

이들 귀농·귀촌 가구의 월 평균 생활비는 각각 201만원, 213만원으로 귀농·귀촌전 282만원, 259만원 수준보다 낮았다.

# 문화·체육서비스, 일자리 지원 확대해야

귀농·귀촌 후 생활은 귀농은 단독주택이 86%로 대부분이었고 귀촌은 단독주택과 아파트·연립주택이 각각 절반 가량씩을 차지했다.

지역주민과의 관계는 ‘좋다’고 응답한 가구가 귀농 74.7%, 귀촌 56.1%으로 귀농이 높았다.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1.4%, 귀촌 1.5%로 주로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충돌, 마을공동시설 이용문제 등을 이유로 꼽았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로는 귀농·귀촌 가구 모두 문화·체육서비스(27.5%, 29.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지원(23.6%, 17.8%), 노인돌봄서비스·교통서비스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귀농·귀촌 10가구중 6가구(귀농 57.8%, 귀촌 67.0%)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다. 불만족 이유로는 귀농은 영농기술·경험부족(28.5%)과 자금부족(27.8%)을, 귀촌은 자금부족(43.3%)과 영농기술·경험부족(30%)으로 나타났다.

# 귀농·귀촌 교육·정보제공·청년농 창업 지원 확대에 집중

따라서 귀농·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교육과 정보제공, 농외 소득활동 등이 지원돼야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농식품부는 이같은 귀농·귀촌 가구의 애로를 해소하는 데 정책을 집중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귀농·귀촌 교육을 개선,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주민갈등, 정착실패 사례 등 농촌공동체 이해와 귀농설계 교육을 보강하고, 특·광역시와 기술센터가 없는 13개 시?군에는 도시농협을 교육·상담 지원 창구로 활용해 도시농협의 전문성을 살린 특화과정을 운영하기로 했다. 더불어 ‘귀농·귀촌 통합 정보제공 서비스’와 ‘귀농품목?지역정보 지원서비스’를 도입, 필요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청년층의 농업창업 지원 강화를 위해 40세 미만 청년 1600명을 신규 선발해 영농정착지원금과 창업자금(3억원 한도), 농지임대 우선지원, 영농기술 교육 등을 종합지원하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사업’을 신설, 일정규모(2억원) 이상 농업투자를 하려는 2040세대 농업인들의 투자 실패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귀농·귀촌의 경우 농외 소득기반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귀농 자금을 지원받은 경우 단기 취업·타산업분야 사업자 등록을 일부 허용하는 등 지원요건을 완화하고 71개 시?군 귀농귀촌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의 고용센터, 새일센터 등과 연계해 귀농귀촌인의 취업지원을 도울 계획이다.

이밖에 공공서비스부문에 있어서는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을 통해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 강화방안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정책환경과 귀농·귀촌 실태를 반영한 정책보완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