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노지 스마트팜의 연착을 위해서는 국가단위 플랫폼을 구축한 후 지역별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대표는 최근 GS&J 인스티튜트 연구보고서 ‘노지 스마트농업,어떻게 추진해야 하나’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남 대표는 “우리나라 노지 스마트농업은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추진되고 지자체별로 별도의 관제시스템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이런 분절화 된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국가 단위의 스마트농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별로는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부 시스템을 설치, 데이터의 통합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데이터의 통합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접근 전략도 제시됐다.

남 대표는 “현재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부분의 스마트농업 사업에는 데이터 관제센터를 구축하는 내용이 포함되며 올해부터 추진되는 농식품부의 스마트농업 시범사업도 마찬가지로 지역마다 많게는 수십억 원의 예산이 투자될 예정”이라고 전제했다.

남 대표는 “그러나 지역별로 개발되는 시스템이 효용성이나 안정성을 갖추기는 어렵고, 지역별 데이터를 통합해 나갈 방안도 마련돼 있지 않다”며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도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남 대표는 “현재 가장 시급하게 추진되어야 할 사항은 국가 단위에서 농사데이터를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이와 함께 농업데이터를 어떻게 서비스할 것인지에 대한 서비스 모델도 서둘러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