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회, 번식기 이후 멧돼지 확산 우려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야생멧돼지 감염개체가 갈수록 증가,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봄철 번식기 이후 ASF(아프리카돼지열병)재발과 전국적 확산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11일 ‘환경부는 ASF 조기 근절 위해 야생멧돼지 완전 소탕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ASF 3월 위기설 확산을 주장하며 광역수렵장 개설로 야생멧돼지 개체수 제로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한돈협회는 “환경부는 하루 빨리 광역수렵장을 지정하고, 수천 명의 전문수렵인들을 일제 투입해 완전 소탕하는 특단의 대책을 조속히 시행하라”며 “야생멧돼지는 ASF의 주 감염원이자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차량 추돌 사고와 인명사고를 유발해 개체수 조절이 시급한 유해생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멧돼지 감염개체가 광역울타리를 넘어 동·서·남쪽 구분없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추세”라며 “환경부가 내세우는 광역울타리만으로는 야생멧돼지의 ASF 확산을 막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도 봄철 번식기 이후를 대비한 보다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이어가고 있다.

건국대 수의대 겸임교수인 선우선영 ㈜케어사이드 이사는 “과거 돼지열병 전파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영동고속도로 끝지점은 멧돼지의 남하 가능성이 여전히 높아 강원 남부, 경북 북부지역에 대한 방역을 집중해야 한다”며 “비오염 지역 중 도단위나 시군구 행정구역 단위로 멧돼지 서식수와 농가수, 특히 산과 연접한 농가 분포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에 우선순위를 둬 농가 울타리 설치 등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최농훈 건국대 수의대 교수는 “유럽의 ASF발생 국가들처럼 야생과 사육돼지를 분리해서 관리하고 지역별 이동제한 조치는 유지하되 재입식을 허가하는 능동적 정책결정이 필요하다”면서 “야생돼지를 사살해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공존을 인정하고 돼지사육에 대한 중장기적 정책을 마련하는 게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