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거버넌스 협치 성과 이끈 장본인

[농수축산신문=하선주 기자] 

바이오 생명공학 보건학 등 
농업 콘텐츠 개발 무궁무진

국민의 공감대 높여
직불제·농어민 기본 소득제
도입으로 지속가능성 제고

 

“농업·농촌을 47조원 생산액 기준으로만 논할 때가 아니라고 봅니다. 21세기의 농업은 문화, 서비스와도 접목하는 다각화 경영과 공익적 기능 확대를 중요시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보듯이 앞으로는 바이오 생명공학 의료·보건학 등 농업으로부터 출현 시킬 수 있는 콘텐츠 개발 가능성 여지는 크다는 것이죠.”

추 욱 충남도 농림축산국장은 이같은 내용을 주로 하는 '3농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충남도의 의지를 밝혔다.

현재 충남의 3농정책은 충남도에만 국한하지 않고, 국가 전체 농정방안을 짜는 데도 많이 응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 국장은 이런 3농정책의 선발대에서 지난 10여년간 실무와 입안을 공들여 진행해 오던 중에 농업과 산림정책을 총괄하는 국장에 오른 인물이기 때문에 농림축산분야에 애정과 자부심이 강하다.

그는 “그동안 추진해 온 3농정책 중에서 모자라거나 반성할 것은 반성하면서 보다 새롭고 정제된 정책으로 농업인의 권익신장과 부의 창출을 이뤄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농업안전망 확충과 경제 활성화, 농촌복지를 포함한 5대 전략과 20대 중점과제를 목표로 정했다고 한다.

추 국장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의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농업인에게 희망을 주고, 민·관 거버넌스 협치의 농정을 만들어 농업인의 축적된 힘으로 스스로 자립하는 농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 주도적 생산증대 농업이 아니라 민간 스스로 연구하고 개척하는 농업·농촌이 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이런 정신을 토대로 이어 온 3농정책에 힘입어 최근 통계로 보면 충남의 농가당 농림어업 국내총생산액(GRDP)은 전국 1~2위를 나타내고 있다.

민선7기 이전에는 3농 혁신이라고 했는데 2011년부터 2018년까지 8년 동안 밀고 나온 덕택에 3농정책이 제대로 자리매김했고 위상이 높아진 셈이다.

추 국장은 충남의 농업·농촌 정책이 국가적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산파역을 담당해 왔다.

그는 “그동안 우리 3농정책은 생산 지향적이고 타 지역과의 차별성이 부족했다는 일부 평가를 받기도 했다”며 “국민의 공감대를 높여 직불제, 농어민 기본 소득제 도입 등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농업·농촌은 농업인은 물론 국민 모두의 것이며, 농업·농촌의 존립이 곧 국민의 삶과 연결된다는 정약용 선생의 3농철학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 3농정책이라고 덧붙였다.

충남도는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농업예산을 확대 개편해 농업·농촌의 다기능성을 활성화하는 사업이나 프로그램 기획에 예산을 우선 배정했다.

충남도 민선7기 농정 핵심공약은 ‘주요농산물 가격안정제 도입’ 추진이다.

그는 깨끗한 청정 축산 구현에 대해서도 크게 역설했다.

추 국장은 “걱정 없이 농사짓는 농업안전망 확충, 농식품 유통 혁신으로 충남 농촌경제 활성화, 사람이 돌아오는, 살고 싶은 복지농촌을 조성해야 한다”며 “숲으로 그린 행복 충남의 실현, 가축·환경·사람이 공존하는 자연 친화형 축산업 육성을 중점 추진하게 될 것이다”고 거듭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