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국내 코로나19사태가 소강국면에 들어서긴 했지만 오는 가을, 겨울 2차 대유행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농축수산업 분야의 포스트코로나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의료계와 방역당국은 코로나19 국내 발생자는 10명 내외로 줄어들었지만 아직 전 세계에서 코로나19유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해외 입국자의 감염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2차 대유행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는 이번 코로나19확산으로 전 세계의 물류 중단이 현실화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다행히 국내에는 식료품사재기 현상이나 식량위기 사태가 발생하진 않았지만 이번과 같은 국가 재난 사태시 언제든 식량위기가 도래할 수 있는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8년 현재 국내 식량자급률은 46.7%에 불과하다. 이 중 곡물자급률은 21.7%에 그친다. 곡물 중 쌀을 제외한 밀, 콩 등 대다수의 작물의 자급률을 한 자리 수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국제 곡물가가 널뛰기를 하고, 전세계적인 물류 중단 사태가 발생될 경우 국내 식량안보는 그야말로 빨간불이 켜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국내 식량 자급률 제고를 위한 장·단기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하는 시점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경영위기에 내몰린 농업인과 생산자단체 등을 위한 특단의 회생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 중단과 화훼 소비 급감 등으로 관련업계는 파산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각 학교의 대면수업이 또 다시 중단돼 학교급식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한 사전 대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 예산을 활용, 꾸러미 공급사업이나 농식품 바우처로 지원하는 사업을 제도화하고 더 나아가 취약계층의 식생활 개선과 국민 건강, 농식품 산업의 수요 기반 확대 등을 위해 ‘농식품바우처’사업을 본격화하는 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로 농식품 유통시장도 온라인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공급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열악한 농업 여건을 감안해 온라인 납품을 위한 교육 컨설팅과 마케팅 역량 강화, 급성장하고 있는 가정간편식 시장에 대한 연구개발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유입이 차질을 빚고 있는 만큼 농어촌지역 인력난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도 나서야 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먹거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정부에서 마련 중인 3차 추경에 농업분야 지원 대책을 반드시 반영해 국민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