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제한 정책 철회·소비홍보 위한 정부 지원 ‘절실’

[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밀키트 특수부위 개발과

소비홍보·인식개선 캠페인 필요

 

코로나19로 외출을 삼가고 언택트 소비, 즉 비대면 구매가 늘어나면서 온라인몰의 식품구매율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한 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 당일배송 등을 내세운 식품전문 온라인몰의 매출은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10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몰의 식품 구매 비율은 업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50~10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산 축산물의 구매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외식수요의 대부분이 수입육이기 때문에 가정소비가 늘어나면서 국산 축산물이 때아닌 특수를 맞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독 오리산업은 특수를 피해갔다. 외식소비는 생오리 수요가 많고 가정 소비는 훈제오리가 대부분인 산업 특성상 코로나19로 생오리 소비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온라인 소비가 늘어난다고 해도 최저가 경쟁 때문에 생산비 이하의 덤핑판매만 늘어난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사육제한에 코로나19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는 오리산업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글 싣는 순서

上. 오리산업만 ‘나홀로’ 피해

下. 오리산업 위한 특단대책 필요해

 

#온라인 판매, 가격경쟁만 부추겨

▲ 서울시내 한 마트에서 훈제오리 600g이 6900원에 팔리고 있다. 600g 두마리를 묶은 제품은 1만원 초반대로 판매, 마리당 5000원대인 제품도 있어 덤핑판매가 심각한 수준이다.

온라인 판매가 늘어나고 가정소비가 늘어나면서 훈제오리 판매가 늘어났다는 보고도 있지만 오리업계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형마트의 경우도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의 방문을 꺼리는 분위기 때문에 판매량이 늘지는 못하고 있다”며 “온라인 판매의 경우도 그 물량이 많지 않고 경쟁이 심해 최저가만 찾기 때문에 판매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신선 식품의 특성상 온라인 판매량 증대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업체 B사의 관계자는 “온라인몰에서는 판매몰 수수료, 아이스팩, 포장재, 물류비 등이 추가로 지출되기 때문에 업체 입장에서는 반길 수 없다”고 밝혔다.

주 52시간제를 비롯한 회식문화의 변화에 따른 오리고기 소비 부진으로 불황이 계속된 데다 코로나19 확산까지 그야말로 오리업체들에게는 ‘엎친데 덮친 격’이 되고 있는 것이다.

계열업체 C사의 관계자는 “식당 판매 부진에 따른 자금회수 불가, 냉동재고량 적체, 냉동비용 지출, 고정경비 증가 등으로 계열업체의 어려움은 극에 달하고 있다”며 “계열업체 긴급 운영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리고기 판매 확대 위한 특단의 대책 필요해

오리업계는 이같이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산업의 큰 피해를 야기하는 임시방편 AI 대책인 사육제한 정책은 철회하고 대규모로 지출되고 있는 오리농가 사육제한 보상금을 사육 시설 개편을 위한 지원금으로 전환해 AI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지금부터라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한 소비홍보 대책을 넘어서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을 통한 획기적인 오리고기 판매 확대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리협회는 HMR(가정간편식)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밀키트 제품 등을 개발하는 한편 프랜차이즈 식당 오리고기 신메뉴 추가와 함께 오리 부분육(특수부위) 개발과 홍보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온·오프라인의 대규모 캠페인을 추진하는 한편 오리자조금을 중심으로 오리고기 소비홍보와 인식개선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치기로 했다.

오리협회의 한 관계자는 “재고 비축물량을 대규모 식자재 업체에 할인공급해 조기 소진하는 등의 직접적인 소비홍보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차원에서도 늪에 빠진 오리산업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끝>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