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멧돼지 ASF 증가 가능성 대비해야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야생 멧돼지·농장 동시감염 추정

국내 ASF 바이러스에서

IGR1·IGR2·IGR3 타입

바이러스 3종 모두 확인

 

차단방역 개선하고

멧돼지 줄이는 리스크 관리측면

둘 다 놓치지 말고 노력해야

 

▲ ‘2020 KASV 수의양돈포럼’에 참석한 수의전문가들은 올 가을철 멧돼지 ASF 증가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국내에 최소 3차례 이상 유입된 것으로 수의전문가들은 추정했다.

국내 야생멧돼지에서 확산되고 있는 ASF 바이러스의 다중 유입설에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지난 11일 충북 C&V센터에서 열린 ‘2020 KASV 수의양돈포럼’에서 ASF 방역정책을 자문하고 있는 조호성 전북대 교수를 비롯해 수의전문가들은 ASF 바이러스 국내 유입과 관련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야생 멧돼지·농장 동시감염 추정

조호성 교수는 “우선 국내 ASF 발생은 야생 멧돼지와 농장에서 동시감염으로 추정한다”며 “강원 고성은 논리적으로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이 있어 유전자 변형 없는 변이로 별도 감염된 것으로 추론한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ASF 바이러스의 경우 구제역과 달리 유전자 변이가 드물지만 전장 유전자 분석을 통해 유전자간 부위(IGR)의 일부 변이를 확인할 수 있다”면서 “국내 멧돼지에서 발견된 ASF 바이러스 사이에서도 IGR의 변이가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국내 ASF 바이러스에서 IGR1, IGR2, IGR3 타입의 바이러스 3종이 모두 확인됐고 이는 중국 등 주변국의 상황과도 일치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정현규 도드람양돈농협 박사는 “처음 ASF 폐사체로 발견된 야생 멧돼지가 처음 감염됐다고는 보지 않고 있으며 IGR 3가지 타입과 고성의 경우 등을 감안하면 북한 등에서 최소한 4번은 오지 않았나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ASF 다중 유입설은 수개월만에 경기 파주, 연천과 강원 철원, 화천,고성 등 상당히 떨어져 있는 지역에서 ASF 양성 멧돼지가 분포돼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특히 북한으로부터의 유입 경로는 수계 공유 등이 지목됐으며, 큰부리까마귀 등 야생조류와 멧돼지가 먹이를 공유하면서 전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은 “IGR 유전자 분석이 규명되기 전에도 파주·연천과 철원의 발생은 다른 요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이미 지목한 바 있다”면서 “고성의 경우 소초 옆에서 사살된 개체가 다수를 차지했고 주변에 큰부리까마귀가 많으며 멧돼지와 집돼지가 섞인 흑돼지 교잡종, 사료로 유인해 사살했던 점 등이 특이했다”고 말했다.

 

#가을철 멧돼지 ASF 증가 대비해야

최근 ASF 양성 멧돼지의 추가 발견이 감소한 것과 올 가을철에 다시 증가할 가능성에 대해선 여전히 긴장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문이 이어졌다.

ASF 감염으로 인한 폐사체가 발생해도 야생조수류나 빠른 부패로 인한 훼손, 산림이 우거져 폐사체를 찾는 것 등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김영준 실장은 “매년 평균적으로 보면 지금이 멧돼지가 가장 적은 시기”라며 “춘궁기에 사망하는 개체도 많고, 어미들은 새끼들을 데리고 산 중턱에 올라가 있기 때문에 이동거리도 짧은데다 발견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어 “오는 9~10월이 되면 다시 멧돼지에서 ASF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오유식 한국양돈수의사회 학술부회장도 “유럽의 경우에서도 7월 이후 새끼 멧돼지들이 이유하면서 ASF 발생이 증가하는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조호성 교수는 멧돼지에서 주로 ASF가 발생하다 최근 사육돼지로 확산된 폴란드 사례를 지목했다.

조 교수는 “멧돼지에서 ASF가 발생해도 농장 차단방역만 잘하면 막을 수 있다는 주장과 아무리 농장이 막아도 한계가 있으니 멧돼지를 아예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며 “차단방역도 개선하고 멧돼지도 줄이는 등 리스크 관리측면에서 둘 다 놓치지 말고 노력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김현섭 한국양돈수의사회장은 ASF발생과 양돈수의사의 역할과 관련해 “양돈농가들이 생각보다 놓치는 부분이 많아 시스템이 필요하다”면서 “경기 북부지역의 재입식과 관련해 규정들이 많은데 울타리 등 이른바 하드웨어 규정이 강화되더라도 운영과정이 이 못지않게 중요하기 때문에 양돈장의 우수위생관리를 위한 소위 ‘한돈케어’ 시스템을 제도적으로 만들어 소프트웨어를 강화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