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도농복합형·농촌형 분류(안) 제시돼

[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농·축협 판매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농협에 대한 유형 세분화 작업이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 산하 좋은농협위원회는 지난 2일 농특위 대회의실에서 ‘농축협의 판매사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구조 개선 방안은?’이라는 주제로 제1차 공개포럼<사진>을 가졌다.

 

특성에 따른 지역농협 유형 세분화 필요

이날 김종안 한국협동조합연구소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조합별 경제사업 여건과 이질화가 급속도로 심화되는 상황에서 조합 유형 세분화와 맞춤형 지원 체계 수립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소장은 “농협중앙회가 분류하는 지역농협, 품목농협, 지역축협, 품목축협, 인삼협 등 5개 조합 유형 중 2018년 기준 지역농협에 해당하는 조합의 비중이 82.6%로 가장 높은 반면 조합당 사업규모는 334억 원으로 가장 열악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조합의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 세분화 작업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게 김 소장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김 소장은 지역에 따라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으로 분류하는 안을 제시, 각기 다른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협동조합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경제사업 대비 신용사업의 비율은 도 지역조합의 경우 0.77에 불과했다. 하지만 특광역시 지역조합은 4.04로, 신용사업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이에 최범진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대외협력실장은 “농촌형 농협은 생산자 중심으로 출하 기능을 강화하고, 도시형 농협은 판매기능을 강화하는 등 특성에 맞게 역할을 구분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반면 이와는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참석자도 있었다.

손병철 위원(고산농협 상임이사)은 “단순히 도시·농촌농협으로 나눈다면 ‘도시농협이니 신용사업에만 매진해도 된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며 “사업량도 중요하지만 판매사업과 경제사업 등의 참여도를 따지고 농협의 존재 가치를 상기하며 조합을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계약생산, 가공, 공동선별 참여 등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 줘 판매사업 기여도에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선 농축협의 임원제도와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이와 관련해선 조합장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할 수 있도록 △이사회 중심의 지배구조로 전환 △상임이사 임기 연장 △대의원 수 증대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

농특위 좋은농협위원회는 이달부터 10월까지 총 5회 포럼을 개최해 농업과 농촌, 농협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농협 사업구조개편 이후 8년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