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17일 내놓은 `2004년 농업 및 어업기본통계 조사결과''는 우리 농촌의 실정이 얼마나 심각한 지경에 도달했는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마디로 우리 농촌은 양로원을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농가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

국내 전체 농가수 124만호의 23%인 28만5000호의 경영주가 70세를 넘겼다. 반면 40세 미만은 고작 3만8000명으로 3.0%, 40대는 18만2000명으로 14.7%, 50대도 28만6000명으로 23.1%에 불과한 실정이다. 여기에다 국내 농가인구 341만5000명의 29.4%인 100만2000명이 65세 이상이라고 한다. 연금대상인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이 1994년 16.0%에서 10년만에 29.4%로 높아졌다는 점은 농가의 고령화현상이 얼마나 빨리 진전되고 심각한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고령화의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지금보다 앞으로의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 60대 농가 경영주가 44만9000명으로 36.2%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다 농촌에서 아기울음 소리가 들린지는 이미 오래전의 얘기로 젊은 후계인력의 증가를 기대하기도 어렵다는 점은 앞으로 10년후 농가 경영주의 절반 정도가 70대일 것이라는 분석을 가능케 하고 있다.

특히 농가의 고령화현상을 타개할 뾰족한 대책은 사실상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라는 점은 더더욱 문제다. 앞으로의 농업여건이 지금보다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농가의 고령화현상을 해소시킬 대안이 없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고 자포자기하거나 포기할 수도 없는게 농업이다. 이처럼 열악한 상황을 헤쳐나가면서 국민들의 식량창고인 농업을 지켜나기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대책이 마련되고 추진돼야 한다. 다시 말해 `2004년 농업 및 어업기본통계 조사결과''는 미래의 농업을 이끌어나갈 젊은 후계인력 확보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고령화시대에 맞춘 농업구조조정과 농촌복지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사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같은 대책 가운데도 우리 농업을 이끌어갈 후계인력의 확보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농림부는 농업후계인력의 확보를 위해 창업농제도 등을 새로 도입해 시행하고 있지만 이에 만족하지 말고 계속 문제점을 보완, 유능하고 젊은 인력을 농업후계인력으로 유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개방화시대 농정의 핵심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전업농육성정책에 대한 보완·점검도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전업농육성정책은 보다 장기적인 면에 비중을 더 두고 추진돼야 할 것이다. 현재 추진하는 전업농 육성대책이 너무 단기적인 방안으로 추진되고 있지 않은지 점검을 해 최소한 10년후, 나아가서는 15년후 20년후 우리 농업의 모습까지 감안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고령화 농가를 위한 다양한 복지대책의 시행은 말이 필요없을 만큼 시급한 사안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