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시장개방에 맞서 쌀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급위주 정책을 수요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특히 가장 시급한 초과 공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 등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급식 지원정책을 적극 도입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태호 서울대 교수는 지난 20일 본지 주최로 개최된 `쌀시장 개방 대응전략 심포지엄''에서 `남는 쌀을 어찌할 것인가-쌀 수급조절 정책방향에 대하여''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현재 쌀 농업의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수요와 공급의 괴리''로 지속적인 초과공급 사태가 유지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형성돼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지향적 정책으로 쌀 가격을 낮춰 쌀의 초과공급을 해결하려고 해도 쌀농가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영세 고령 농가의 경우 가격 변화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별다른 효과를 볼 수 없으며, 오히려 규모가 크고 경영주의 연령이 낮은 농가의 생산을 감소시켜 역구조조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게 이 교수의 진단이다.

그는 이에 따라 “공급측면의 정책을 찾기 전에 수요측면의 정책을 펴야하며, 우리 국민이 우리 쌀을 사랑하고 소비하게 하는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 초등학교 급식정책”이라고 강조하고 “이를 위한 예산지원이 필요하며, 연간 5000억원이면 충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원 중앙대 교수는 `쌀시장 개방 대응전략''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의 농협 RPC는 건조, 저장, 도정 등 수확후 관리에 전념하고 마케팅을 전담할 새로운 유통주체인 (가칭) `산지 유통·판매사업단''을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