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농기계화사업은 보급확대 위주의 구입자금지원에서 벗어나 농기계의 이용률 증대와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밭작물 및 축산분야의 기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농기계가 과잉공급됐다는 일부의 주장은 이론적 근거가 미약하며 이를 토대로 농기계화사업관련 예산을 축소하는 것은 농업구조개선을 지연시키고 농업경쟁력을 떨어 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과 한국농업기계학회가 지난 11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농림부, 농기계관련 학계, 업계 관계자등 1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농업기계화사업의 과제와 추진방향에 관한 발표회」에서 이같은 의견이 집약됐다.
이날 강정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은 연구발표에서 『농기계 반값공급정책이 중단된 지난해와 97넌 이전의 농기계 공급량을 비교해 트랙터와 콤바인등 대형기종의 공급량이 반값공급 이전보다 오히려 증가했다』면서 일부의 공급과잉 주장을 잘못된 분석이라고 일축했다.
또 『경운기, 이앙기, 관리기 등은 반값공급정책으로 97년이후 미래수요분까지 공급된 것은 사실이나 2000년 이후 갱신수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00년이후 경운기는 연간 5만∼6만대, 이앙기 3만5천∼4만대, 트랙터 2만5천∼3만대, 콤바인 9천∼1만2천대, 관리기 3만5천∼4만대수준이 공급될 것으로 분석했다.
강원장은 이와함께 벼농사의 경우 경운·정지, 아앙, 수확작업은 98%의 기계화를 실현했으나 건조·저장작업등 수확후 처리의 기계화율은 97년 기준으로 36%에 그쳐 일본의 89%, 대만의 69%에 훨씬 못미치는 실정이라며 농기계화사업의 지속적 추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경운·정지작업은 경운기에 의해 많이 이뤄지고 이앙기는 보행형이 90%이상를 차지하는등 기계화가 양적 팽창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질적 수준은 낮은 상태라고 분석했다.
또 밭작물의 기계화율은 경운·정지작업을 제외하고 평균 40%수준으로 매우 낮으며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파종·이식, 제초, 수확작업의 기계화는 전무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서 이종호 농기계학회장은 『농촌인력의 고령화로 신규노동력이 투입되지 않으면 10년이내에 농업공황이 발생할 것』이라며 『기계화만이 부족한 농업노동력을 대체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박원규 농기계화연구소장은 『기계화사업이 원예·축산분야의 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이 분야는 수도작과 달리 각 기종당 5백대이하의 한정된 수요만 있어 이에 대한 업계의 연구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석희진 농림부 기획예산담당관실 계장은 『42조원사업을 평가한 결과 일부 농기계가 과잉공급된 것을 분석됐다』면서 『업계가 자율적 구조조정을 통해 농기계화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확대를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수 scoop@aflnews.co.kr

"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