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별차등가격제 시행키로
낙농산업발전위원회 제5차 회의 물량·가격 추후 실무자 협의 거칠 것
[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낙농산업발전위원회가 지난 28일 열린 제5차 회의를 끝으로 마무리됐지만 정부, 생산자 단체, 유업체 간의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 추후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금까지 회의 내용을 종합해 연내에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방안의 방향을 발표하고 세부내용은 생산자, 유업체 등 이해당사자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한 용도별차등가격제 시행을 확정하되 물량, 가격에 대해서는 추후 실무자 협의를 거쳐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생산자 측이 제안한 한국형MMB((Milk Marketing Board, 생산자 중심의 집유·우유판매조직)의 가장 큰 역할은 가격을 교섭하고 결정하는 역할인데 현재로서는 낙농진흥회 이사회에서 가격을 결정하게 되면 다른 유업체에서 가격을 그대로 따라 하는 시스템이라 MMB를 만들어도 실제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지만 여러 현실적인 요건을 고려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MMB 도입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낙농진흥회 의사결정체계를 합리적으로 개편하기 위해 정부안대로 이사회 구성을 23명으로 확대하고 개의 조건과 의결 조건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생산자 측은 사료 가격 상승, 노동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 상황을 설명하면서 낙농제도 개편 시 생산자의 입장을 반영해 줄 것을 강조했다.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장은 “낙농제도 개편에 대해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며 “제도 개편을 하려면 생산자 의견과 수혜자의 의견을 반영해서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