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약자 산림복지 위해 인프라 확대·ICT 기술 접목 필요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개원 7주년 심포지엄 개최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저출산, 고령화, 소득 양극화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산림복지 정책에 인프라 확대와 정보통신기술(ICT) 접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지난 18일 대전 호텔ICC에서 개최한 ‘국민행복을 위한 산림복지 미래 50년’ 심포지엄에서 조계중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장은 이같이 주장했다.
조 회장은 우선 산림복지 정책 성과로는 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산림복지시설과 서비스 확충이 첫손을 꼽았다. 산림복지시설은 2017년 617개에서 지난해 1058개로 대폭 늘어났으며 지리산둘레길 등 9개 숲길 1503km도 운영되고 있다.
확충된 설비와 프로그램, 코로나19 유행 완화 등에 발맞춰 산림복지 이용자 수도 2020년 기준 1168만 명에서 지난해 11월 기준 2243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하지만 조 회장은 “국정과제인 ‘산림복지 서비스 강화’와 ‘지역·국민과의 동행을 위한 사회임업’의 착실한 이행을 위한 체계적인 산림복지정책이 필요하다”며 “산림복지 정책실현으로 저출산, 고령화, 소득양극화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추진 중인 정책이 아직 전체적 효과 기대에 미흡해 다른 사회서비스 사업과 연계로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고령화와 그에 따른 치매 환자 증가도 2050년 302만 명으로 전체 노인의 15.9%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과의 프로그램 연계가 필요하며,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제도 등에 대해 장애인 40% 이상이 잘 모른다고 대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의 인지도 제고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에 조 회장은 △ICT, 가상현실 등과 연계해 시공간 제약 없는 간접경험 서비스 개발 △학교 내 산림교육 강화와 평생 산림교육 체계 마련 △실버 건강관리 등 새로운 사회트렌드와 생활권에 맞는 산림복지 인프라 구축 △산림치유 활동의 건강보험 적용 등을 제안했다.
뒤이어 발표한 구자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산림복지·휴양·치유·교육 등의 컨트롤타워로서 진흥원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며 “민관협력, 지자체공조,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과 실현, 플랫폼 기능 강화 등을 통해 잠재수요를 유효수요화하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