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쌀값 심각, 민간재고 10만톤 식량원조로 해결하라
[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쌀값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쌀값 하락을 막겠다고 지난달 25일 정부와 여당이 5만톤을 추가로 격리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오히려 시장에 역효과를 불러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는 생산농가들이 주장하고 있는 최소 15만 톤의 시장격리물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정부의 추가 발표 이후 산지 쌀 가격은 80kg 정곡기준 18만6376원으로 직전 보다 800원이나 하락했다.
이 뿐아니다.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팽배해지면서 유통업체 납품 계약이 중단되고 매입문의도 뚝 끊겼다는 게 현장의 전언이다.
햅쌀 수확이 두 달 밖에 남지 않은 만큼 산지 농협들은 벌써부터 수확기 대란을 우려하고 있다. 자칫 수매거부 사태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또 최근의 상황이 지난 2022년 쌀값 폭락 사태와 유사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당시에도 쌀값 안정을 위해 추가적인 시장 격리를 요구했지만 이행되지 않았고 하락세가 멈추지 않자 뒤늦게 추가 수매에 나서는 우를 범했다.
대통령이 약속한 ‘쌀값 20만원’을 유지하고 수확철 쌀 대란 사태를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민간재고로 남아있는 10만톤을 식량원조로 지원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달 우리나라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식량지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제사회와의 약속도 이행하고, 생산농가와 한 대통령의 약속도 이행하고,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는 차원에서 이같은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 줄 것을 거듭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