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뜨거워진 바다, 수산자원에 미친 영향은
동해 표층수온 56년간 1.9도 상승 연근해 자원량 지수 ‘낮은 수준’ 유지 살오징어·명태 어획량 ‘급감’ 난류성 어종인 방어류·전갱이류 어획량 꾸준히 늘어 제주연안 아열대성 어종 출현 증가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기후변화로 연근해 표층수온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수산자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어종의 해역별 어획량이 바뀌는가 하면 아열대성 어종이 우리 연근해에 출현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국립수산과학원이 최근 발간한 ‘2024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연근해 표층수온 변화가 수산자원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 56년간 표층수온 1.44도 상승
연근해 표층수온은 56년간 1.44도가 상승, 전 지구의 표층수온 상승치인 0.7도의 2배 이상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수과원이 정선해양조사 관측 결과를 기반으로 살펴본 1968년부터 2023년까지 우리 해역의 연평균 표층 수온 상승률은 0.026도로 전 지구의 평균 표층수온 상승률 0.0125도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해역별로는 동해의 표층수온이 56년간 1.9도가 상승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서해 1.27도, 남해 1.15도의 순이었다. 이중 수심이 깊은 수역인 동해는 표층과 수심 100m의 아표층 수온차가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의 표층수온이 1.9도가 오르는 동안 아표층의 수온은 1.09도 하강해 동해수역 표층과 아표층의 수온차는 매년 0.05도씩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울러 우리 바다의 기초 생산력은 2003년 이후 동해 북부해역을 제외한 전 해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남해 전역과 서해해역에서 뚜렷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같은 수온 상승의 영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과원이 온실가스 감축 수준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행여부 등을 고려한 4가지 시나리오별 표층수온전망에 따르면 2100년까지 우리 바다의 표층수온은 1~4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성장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1도 가량의 상승폭을 보이며 중도성장 시나리오는 2도 내외, 불균형 성장을 가정하면 3도, 고속성장을 할 경우 4도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 연근해 자원량지수, 1990년대 이후 ‘낮은 수준’ 유지
연근해 수산자원은 1990년대 이후 낮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에 연평균 151만 톤 수준에서 2000년대 116만 톤 수준으로 줄었으며 2020년대 들어서는 93만 톤을 기록,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연근해 어획량을 표준화톤수로 나눈 자원량지수는 1990년대 중반까지 가파른 감소추세를 나타냈으며 이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어종별 자원변동 추이를 보면 대표적인 대중성 어종인 고등어와 살오징어, 멸치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증가추세를 보였고 최근까지 높은 어획비중을 보였다. 다만 살오징어는 2010년대부터 최근까지 급격한 어획량 감소를 보이고 있다.
1980~1990년대 대표적 어종인 말쥐치와 명태는 2000년대 들어 자원이 고갈, 말쥐치는 연간 2000톤 가량의 어획고를 기록하고 있으나 명태는 거의 어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아울러 주요 난류성 어종인 방어류와 전갱이류, 삼치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 남해 ‘전반적 감소’ 동해 ‘증가’
해역별 어종의 어장변동은 남해안에서 주요 어종의 어획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동해는 증가했다. 해역별 주요어종의 어획량 변화를 살펴보면 최근 10년이내에는 남해안에서는 방어류와 성대류, 살오징어의 어획량이 모두 감소한 반면 동해안에서는 방어류와 성대류의 어획량이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10~20년 사이에는 남해안에서 문어 어획량만 늘고 까나리, 멸치, 삼치류, 꼼치류, 넙치류, 아귀류 모두 감소했고 서해안에서 까나리와 멸치, 삼치류, 꼼치류, 넙치류의 어획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제주지역에서는 아열대성 어종의 출현 종수와 개체수, 생체량 모두 늘고 있다. 2013~2023년 11년간 동해, 남해, 제주권역 연안 정치망에서 연도별 아열대어종의 출현비율을 조사한 결과 제주지역에서는 출현비율이 29.4%를 기록해 전체기간 동안 가장 높았고 동해 13.2%, 남해 12.6%의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제주 연안에 출현하는 아열대성 어종들에 대한 우점종을 살펴보면 개체수 기준으로 독가시치, 황놀래기, 아홉동가리, 호박돔 등이 많았다. 이들 어종은 우리 해역에 출현하면서 현재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호박돔과 아홉동가리, 독가시치, 금줄촉수, 잿방어 등은 상업적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상승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제주연안에서 아열대성 어종의 서식이 유리해지면서 개체수와 출현빈도수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