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단협, 농업 종합대책 마련 촉구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최근 정치 불안과 환율 급등으로 사료가격 폭등이 우려되는 등 축산업계가 심각한 위기에 봉착함에 따라 농업 4법(양곡관리법·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어업재해대책법·농어업재해보험법 개정안)으로 인한 과도한 재정부담으로 농축산업의 균형된 발전이 저해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농업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지난달 31일 정국혼란에 환율급등·사료값 고공행진으로 축산농가 경영악화 심각‘ 성명을 통해 “축산업은 물가상승과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폭등한 사료가격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소 럼피스킨 등 가축질병 확산, 물가안정을 위한 수급조절 부담 등 전례 없는 삼중고로 산업의 위기에 놓여 있다”며 “한정된 농업예산에서 특정 분야에 대한 과도한 재정 지원은 전체 농업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할 수 있어 별도의 예산확보와 협의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축단협은 이어 “농업·농촌의 현안이 정치의 정쟁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며 “여·야가 힘을 합해 농업과 농촌을 위해 무엇을 할지 고민하고 국민 식탁 물가안정과 농업·농촌을 근본적으로 살릴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축단협은 정부와 국회가 무너져 가는 농업과 농촌을 살리고 식량자급율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축단협은 “농업 4법의 입법 취지에는 지지하나 쌀 농업과 축산업을 포함한 농업 전 분야가 균형 있게 발전하도록 정부와 여·야가 합의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돼야 식량 안보 강화와 농가 경영안정은 가능할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 등이 여야정 협의체를 통한 협치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한 종합적인 미래 대책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