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L 칼럼] 기후위기=농업 존폐위기

2025-02-11     이남종 기자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국책연구기관이나 민간정책연구소 등은 연초가 되면 올 한해 주목되는 주요 이슈를 선정, 화두로 꺼내든다.

올해 각 연구기관에서 꺼내놓은 화두 중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기후위기에 주목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2510대 농정 이슈 중 하나로 기후위기 시대 식량안보를 위한 농업생산기반 점검과 대응이라는 주제를 선정했다. 민간정책연구소 GSnJ인스티튜트도 2025년 한국 농업농촌을 뜨겁게 달굴 다섯 가지 위협과 기회 중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기후위기 대응체계 구축이라는 테마로 기후변화 위기를 꼽았다. 또한 유통 전문연구소인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역시 2025년 농식품 유통이슈 10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 생산·유통 체계 개선 요구 증대를 주요한 이슈로 거론했다. 그만큼 기후위기는 우리 농업 생태계를 위협하는 인자로 크게 다가왔다는 뜻이다.

기상청은 우리나라 여름기후 통계발표를 통해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래 지난해 평균기온과 열대야 일수가 각각 1위 였다고 밝혔다. 평년(30년 평균) 대비 평균기온은 25.6도로 1.9도 높았고 열대야 일수는 20.2일로 13.7일 많았으며, 폭염일수는 24일로 13.4일이 많았다. 여름철 전체 강수량(602.7)은 평년(727.3)보다 적었으나 장마철 강수량(474.8)은 평년(356.7)보다 많아 강수량이 장마철에 집중되는 등 이상기후는 더욱 심각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는 폭염·폭설, 여름철 집중호우와 가뭄의 동시 발생과 냉해·병해충 등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켜 농업 현장에서 막대한 재해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생산위험 증가와 작황부진에 따른 농산물 가격 급등은 결국 장바구니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농업 가치사슬 전반에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온난화는 전 지구적 현상으로 여름철 고온, 겨울철 기온의 상대적 상승 등이 점점 더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분야 기후변화 관련 정책·사업을 총괄하기 위한 농식품 기후변화 대응센터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 또한 농축산물의 안정생산과 공급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신농업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연구개발(R&D) 사업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예측과 적응, 피해경감, 온실가스저감, 재배적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 현상 증가와 식량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재해 있다.

국제적으로는 미 트럼프 정권의 재집권 이후 파리협약 탈퇴와 화석연료 산업 지원강화, 재생에너지 지원 축소 기조 등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문제에 찬물을 껴안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이에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국내적으로 윤석열 정권에서 추진돼온 기후변화 대응 미온적인 정책과 연구개발 예산 삭감이 중단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잔존한다.

기후위기에 대응해 관측 고도화, 주요품목 신규산지 육성, 기후 적응형 품종 현장 적응 실증단지 조성 등 사업을 추진, 이상기후에도 농산물 수급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과학적 데이터 기반으로 농업 생산·유통 등의 농업가치 사슬을 재정비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국제기구 협업을 통해 UN식량기구(FAO)의 기후스마트농업 프로그램, 녹색기후기금(GSF)의 연계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기후위기는 곧 농업의 존폐에 달린 문제라는 사실을 직시하고 범정부적, 범글로벌 차원에서의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