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1000억 달러 식품산업 육성 위한 밑그림 그려져

농어업위, 제24차 위원회 개최 수출 1천억달러 식품산업 육성기반 조성방안 등 논의 수산분과위·산림분과위 신설 추진

2025-03-21     박유신 기자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농어업위 본회의 모습.

식품산업 1000억 달러 수출을 위한 밑그림이 그려졌다.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는 지난 18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장태평 위원장을 비롯해 정부위원 2명과 위촉위원 16명 등 총 19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제24차 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수출 1000억 달러 식품산업 육성기반 조성방안 △경축순환 농업 확대를 위한 퇴액비 생산-이용 연계 지원체계 개선(안)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도 개선방안 △산촌소멸위기 대응 산림복지서비스 민간참여 확대방안 △바이오경제 특별위원회 존속기간 연장 등 5개 안건이 상정돼 심의·의결됐다.

안건별 제안된 사항을 살펴보면 수출 1000억 달러 식품산업 육성기반 조성방안의 경우 농수산식품 가치사슬의 전방위 경쟁력 강화를 정책 방향으로 △원료 공급망 효율화·안정화 △첨단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제고 △전략적 유통·수출 지원 등 3대 전략을 중점 추진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그 일환으로 계약재배 전단계 온라인화를 통한 농수산업-식품기업 간 연결성 강화, 식품산업을 첨단식품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 전략기술(산업)’ 지정, 식품 바이오 파운드리 등 공공첨단산업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첨단산업설비 도입 등 첨단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제고 방안 등이 제안됐다.

이밖에 경축순환 농업 확대를 위한 퇴액비 생산-이용 연계 지원체계 개선(안)에서는 화학비료와 퇴액비의 일관된 관리기준을 확보하고 사용자 맞춤형 품질관리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증진을 통해 퇴액비 사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됐다.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도 개선방안에서는 고수온, 남획 등으로 국내산 원료 공급이 불가한 수산전통식품 원료 중 명태 등 일부 품목에 한해 수입산 원료를 허용하는 방안 등이 제안됐으며, 산촌소멸위기 대응 산림복지서비스 민간참여 확대방안에는 산림복지 PFI(공공시설 민간투자) 제도 도입과 산림복지분야 민간위탁 운영 시범사업 검토 등 산림복지분야 민간투자 여건 강화와 민간 산림복지시설 경쟁력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 농어업위에서 추진할 22건의 안건과 산림분과위원회·수산분과위원회 신설, ‘전략대화기구’ 운영을 담은 주요업무 계획이 논의됐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추진하는 전략대화기구는 그동안 농지소유, 농산물 물가 등 농어업계에서 오랫동안 논의했으나 해결하기 어려웠던 갈등 이슈를 폭넓게 숙의하는 대화의 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장태평 농어업위원장.

장태평 농어업위원장은 “현재 농어업·농어촌은 인구절감, 기후위기, 기술 발전 등으로 농어업 대전환의 시대를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농어업위에서는 농어업인이 잘 살고 농어촌이 풍요롭게 발전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농어업 생산성 향상과 농어촌 산업기반 확충에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안건 심의에 앞서 특별주제 발표로 이상훈 바이오경제특별위원회 자문위원이 ‘첨단식품산업 및 가칭 바이오 팹 특화전략’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이 자문위원은 발표를 통해 “농축수산업이 당면한 현안 해결을 위해 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농축수산 분야의 새로운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농축수산 바이오 팹의 정의와 발전 전략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